본문 바로가기

project/맞춤법 검사 on 카카오톡 챗봇

[카카오톡 챗봇으로 맞춤법 교정기 만들기] 2 - 봇 설계하기

728x90

 

가장 처음에는 챗봇에서 어떤 식으로 기능을 제공할지 챗봇 스토리를 설계해야 한다.

 

카카오 챗봇 무식자라서 아래의 과정으로 진행했다.

  1. 카카오 챗봇들이 어떤 기능을 제공하는지 시장 조사를 진행했다. 그냥 여기저기 채널 추가해서 챗봇을 사용해봤다.
  2. 내가 원하는 기능을 손으로 그렸다.(복잡하지 않아서 손으로 그렸다)
  3. 카카오 도움말에 가서 원하는 기능을 어떻게 제공하는지 찾아보았다.

이 과정이 좋은 과정인지는 모르겠다.

 

그렇게 결정된 것을 글로 표현하자면 아래와 같다.

  • 유저가 맞춤법을 교정하겠다는 명시적인 행위를 수행한 다음에 요청을 맞춤법 교정을 하도록(스킬 서버에 보내도록) 한다.
  • 맞춤법을 교정하겠다는 명시적인 행위를 대화방에 있을 때는 언제든 할 수 있어야 한다.

 

기능을 결정하고 챗봇에서 작업해야 할 것은 아래와 같다.

0. 카카오톡 채널 연결

1. 웰컴 블록 생성

2. 폴백 블록 생성

3. 스킬 생성

4. 교정하기 블록 생성

5. 봇 제네릭 메뉴 생성

 

 

0. 카카오톡 채널 연결

채널과 챗봇은 별개의 시스템이다.

채널과 챗봇을 연결시켜주는 작업이 필요하다.

개발과 운영 채널을 별개로 연결할 수 있다.

개발은 즉시 반영되지만, 운영은 배포를 해야 반영된다.

👉여기

 

1. 웰컴 블록 생성

웰컴 블록은 간단하게 인사말을 할 수 있도록 했다.

웰컴 블록은 유저가 카톡방에 접속할 때마다 나오는 건 아니다. 오해하지 말자.

2. 폴백 블록 생성

폴백 상황에서는 적절한 기능을 선택할 수 있도록 블록 연결된 버튼을 추가했다.

 

3. 스킬 생성

스킬 서버를 만들면 좋지만 미리 스킬을 등록해야 한다.

스킬 추가 방법은 👉여기

URL이 이미 있다면 등록하고 테스트하면 된다.

json data format은 👉여기

 

4. 교정하기 블록 생성

교정하기 블록에는 사용자 발화를 추가해놨다.

봇 응답은 스킬 데이터 사용으로 지정했다.

봇 응답을 텍스트형을 사용하면서 스킬 데이터를 불러올 수도 있다. 그 방법은 👉👉 여기

 

그리고 필수 파라미터를 등록해줬다.

등록한 파라미터는 스킬 서버로 데이터 보낼 때 SkillPayload의 action-params-파라미터명으로 전달되어서 파싱에서 사용할 수 있다.

해당 데이터 필드 확인은 👉여기

 

 

5. 봇 제네릭 메뉴

마지막으로 봇 제네릭 메뉴를 추가해줬다.

 

 

결론

카카오톡 챗봇이 생각보다 제공하는 기능이 많아서 복잡하다.

카카오 i 오픈 빌더 도움말👍을 잘 이용하는 것을 추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