엘라스틱서치에서 cosine similarity를 이용하여 문장이 아닌 문단수준의 문서를 검색하는 것에 대해서 설명한다
서론
elasticsearch의 검색알고리즘은 기본적으로 BM25 알고리즘을 기본으로 지원한다.
이 알고리즘을 통해 스코어를 매기고 순서대로 적합한 데이터를 찾아준다.
7.3.0 버전부터는 cosine similarity 검색을 지원한다.
즉, 데이터로 고차원벡터를 집어넣고, 벡터형식의 데이터를 쿼리(검색어)로 하여 코사인 유사도를 측정하여 가장 유사한 데이터를 찾는다.
이러한 벡터 유사도 측정은 단순하게 검색어가 문서에 있나없나를 보는것이 아니라
검색어와 문서간의 유사성(의미, 맥락, 문맥, 시맨틱)을 중요하게 보는것이다.
구현
간략한 과정은 아래와 같다
- 정보사전으로 구축할 데이터를 찾는다.
- 데이터 구조를 정의하고 변형한다.
- 엘라스틱서치에 PUT 한다.
- 쿼리를 통해 원하는 정답을 얻는다..
- 데이터 구하기
한글로 된 자료를 검색하기 위한 데이터를 많이 찾아다녔다.
처음에는 영어 예제의 데이터가 stack overflow qa 셋이었는데, 한글로 번역하려고 했지만, 영어 번역이 쉽지도 않고 곰곰히보니 개발관련 내용이 많아 기계번역하면 혼란도만 높아질것이라고 판단했다.
그래서 한글데이터를 찾기로 했다.
특정 도메인에 정보뭉치로 제공되는 데이터를 찾기위해 돌아다녔지만 그런 데이터를 찾기는 쉽지않았다.
또한 크롤링하기엔 시간이 없었다.
그래서 그냥 여러 도메인에 사전적 정보가 있는 형식이면 된다고 판단하였으며 아래와같은 데이터가 있었다.
나무위키 덤프, AI HUB, korquad 1.0/2.0,
구하기도쉽고 데이터포맷도 깔끔해서 나는 korquad 1.0 데이터를 사용하기로했다.
- 데이터 구조 정의 및 변경
korquad 데이터셋은 qa용 데이터다보니 qa관련 데이터도 함께 들어있었다.
깔끔하게 새로운 json 파일로 데이터를 변형하여 저장하기로 했다
import json
'''
after
[{"title":"~~","paragraph" : "~~~"},
{"title":"~~","paragraph" : "~~~"}]
'''
SOURCE_FILE = './KorQuAD_v1.0_train.json'
DEST_FILE = './KorQuAD_v1.0_train_convert.json'
with open(SOURCE_FILE) as json_file:
korquad_json_data = json.load(json_file)
data = korquad_json_data["data"]
paragraphs_data = {}
i = 0
for d in data:
title = d["title"]
complete_paragraph = ""
for p in d["paragraphs"]:
complete_paragraph += p["context"]
complete_paragraph += "\n"
paragraphs_data.append({"title": title, "paragraph": complete_paragraph})
i += 1
if (i % 1000) == 0:
print("processing ", i)
print("total : ", i)
with open(DEST_FILE, "w") as out:
out.write(json.dumps(paragraphs_data))
out.write("\n")
위 코드는 데이터를 주석에 after 아래에 형식으로 변형하여 KorQuAD_v1.0_train_convert.json 으로 저장하는 코드다.
✂︎ 위 과정은 그냥 json을 깔끔하게 변형하고싶어서 넣은 과정이고, 원본json 파일만을 가지고 코드상에서 잘 접근해서 이용하는걸 추천쓰.
- 엘라스틱서치에 데이터 넣기
이제 변형한 json파일을 가지고 엘라스틱서치에 검색할 데이터로 넣는다.
- kss : 문장단위 분리할수있는 패키지
- 문장의 벡터화는 universal-sentence-encdoer-multilingual 사용 (다국어지원)
- 처음에는 문장 전체를 벡터화 모델에 넣어서 벡터화시켜서 테스트하니까 성능이 별로였다.
검색해보니까 Doc2Vec 방법에는 PV-DM(Distributed Memory version of Paragraph Vector) 방식과 PV-DBOW 방식이 있었다.
그래서 PV-DM 방식을 이용하기로 했다. 문단을 문장으로 다 분리해서 문장전체를 평균화하여 Document의 대표성을 가지도록 하였다.
- bulk는 배치단위로 처리하도록 구현함
- title의 벡터와 paragraph의 벡터를 모두 집어넣도록하였다.
# -*- coding: utf-8 -*-
import json
from elasticsearch import Elasticsearch
from elasticsearch.helpers import bulk
import tensorflow_hub as hub
import tensorflow_text
import kss, numpy
##### INDEXING #####
def index_data():
print("Creating the 'posts' index.")
client.indices.delete(index=INDEX_NAME, ignore=[404])
with open(INDEX_FILE) as index_file:
source = index_file.read().strip()
client.indices.create(index=INDEX_NAME, body=source)
count = 0
with open(DATA_FILE) as data_file:
for line in data_file:
line = line.strip()
json_data = json.loads(line)
docs = []
for j in json_data:
count += 1
docs.append(j)
if count % BATCH_SIZE == 0:
index_batch(docs)
docs = []
print("Indexed {} documents.".format(count))
if docs:
index_batch(docs)
print("Indexed {} documents.".format(count))
client.indices.refresh(index=INDEX_NAME)
print("Done indexing.")
def paragraph_index(paragraph):
# 문장단위 분리
avg_paragraph_vec = numpy.zeros((1, 512))
sent_count = 0
for sent in kss.split_sentences(paragraph):
# 문장을 embed 하기
# vector들을 평균으로 더해주기
avg_paragraph_vec += embed_text([sent])
sent_count += 1
avg_paragraph_vec /= sent_count
return avg_paragraph_vec.ravel(order='C')
def index_batch(docs):
titles = [doc["title"] for doc in docs]
title_vectors = embed_text(titles)
paragraph_vectors = [paragraph_index(doc["paragraph"]) for doc in docs]
requests = []
for i, doc in enumerate(docs):
request = doc
request["_op_type"] = "index"
request["_index"] = INDEX_NAME
request["title_vector"] = title_vectors[i]
request["paragraph_vector"] = paragraph_vectors[i]
requests.append(request)
bulk(client, requests)
##### EMBEDDING #####
def embed_text(input):
vectors = model(input)
return [vector.numpy().tolist() for vector in vectors]
##### MAIN SCRIPT #####
if __name__ == '__main__':
INDEX_NAME = "korquad"
INDEX_FILE = "./index.json"
DATA_FILE = "./KorQuAD_v1.0_train_convert.json"
BATCH_SIZE = 100
SEARCH_SIZE = 3
print("Downloading pre-trained embeddings from tensorflow hub...")
module_url = "https://tfhub.dev/google/universal-sentence-encoder-multilingual/3"
print("module %s loaded" % module_url)
model = hub.load(module_url)
client = Elasticsearch()
index_data()
print("Done.")
- 위코드를 실행하면 엘라스틱서치에는 title, paragraph, title_vector, paragraph_vector 데이터가 입력이 되어있을것이다.
kibana도 설치되었다면 아래명령어를 통해 입력된 데이터 개수 확인이 가능하다.
GET korquad/_count
- 데이터 검색하기
검색 프로그램 코드는 아래와 같다
- 데이터 입력에 썼던 모델을 동일하게 써서 검색어를 벡터화 시키고 elasticsearch 룰에 맞춰서 넣어주면 검색이 된다.
# -*- coding: utf-8 -*-
import time
from elasticsearch import Elasticsearch
import tensorflow_hub as hub
import tensorflow_text
##### SEARCHING #####
def run_query_loop():
while True:
try:
handle_query()
except KeyboardInterrupt:
return
def handle_query():
query = input("Enter query: ")
embedding_start = time.time()
query_vector = embed_text([query])[0]
embedding_time = time.time() - embedding_start
script_query = {
"script_score": {
"query": {"match_all": {}},
"script": {
"source": "cosineSimilarity(params.query_vector, doc['paragraph_vector']) + 1.0",
"params": {"query_vector": query_vector}
}
}
}
search_start = time.time()
response = client.search(
index=INDEX_NAME,
body={
"size": SEARCH_SIZE,
"query": script_query,
"_source": {"includes": ["title", "paragraph"]}
}
)
search_time = time.time() - search_start
print()
print("{} total hits.".format(response["hits"]["total"]["value"]))
print("embedding time: {:.2f} ms".format(embedding_time * 1000))
print("search time: {:.2f} ms".format(search_time * 1000))
for hit in response["hits"]["hits"]:
print("id: {}, score: {}".format(hit["_id"], hit["_score"]))
print(hit["_source"])
print()
##### EMBEDDING #####
def embed_text(input):
vectors = model(input)
return [vector.numpy().tolist() for vector in vectors]
##### MAIN SCRIPT #####
if __name__ == '__main__':
INDEX_NAME = "korquad"
INDEX_FILE = "../data/posts/index.json"
SEARCH_SIZE = 3
print("Downloading pre-trained embeddings from tensorflow hub...")
module_url = "https://tfhub.dev/google/universal-sentence-encoder-multilingual/3"
print("module %s loaded" % module_url)
model = hub.load(module_url)
client = Elasticsearch()
run_query_loop()
print("Done.")
- 결과
- 검색어 "한국 만화"에 대한 결과
// 기존검색 결과
{
"took" : 5,
"timed_out" : false,
"_shards" : {
"total" : 2,
"successful" : 2,
"skipped" : 0,
"failed" : 0
},
"hits" : {
"total" : {
"value" : 161,
"relation" : "eq"
},
"max_score" : 6.950753,
"hits" : [
{
"_index" : "korquad",
"_type" : "_doc",
"_id" : "Zmg1t3YBIP3557OAe_wi",
"_score" : 6.950753,
"_source" : {
"paragraph" : """1921년, 고등학생 때 보이 스카우트에 입단하여 호기심 많은 여우(Renard curieux)라는 별명이 붙을 정도로 왕성한 활동을 했다. 고등학교 보이스카우트 잡지 〈Jamais assez〉에 꾸준히 일러스트레이션과 만화를 연재했으며, 1923년에 벨기에의 보이스카우트 잡지 〈벨기에 보이스카우트(LE BOY-SCOUT BELGE))〉에도 만화를 그린다. 이 무렵부터 이름의 머리글자를 거꾸로 한 RG(프랑스어 문자)에서 취한 '에르제'라는 필명을 사용한다. 중등 교육을 수료한 에르제는 과거 경험을 살려서 일간 신문인 〈20세기(Le Vingtième XXe Siècle)〉신문의 예약 구독부에서 일을 시작한다. 그러면서도 〈벨기에 보이스카우트〉에서 탱탱의 기본 골격을 갖춘 만화라고 할 수 있는 《풍뎅이 순찰대장 토토르(Totor, C.P. Des Hannetons)》시리즈를 계속 연재한다. 그 무렵 에르제는 만화 실력을 더 쌓아야겠다는 필요성을 느껴서 벨기에의 유명한 만화 학교인 생 뤽(Saint-Luc)학교에 다닌다. 하지만 그렇게 오래 다니지는 못하고 1926년부터 1927년까지 군 복무를 했다.
하지만 당시에는 이것이 당연한 일로 인식되었기 때문에 《극동에 간 탱탱》시리즈 연재를 앞두었을 때 에르제가 잡지에 "다음 만화는 탱탱이 무지하고 비열한 중국인들을 상대하는 내용의 만화입니다." 라고 예고했었던 것이다. 이런 예고 공지에 대해 벨기에에 있는 중국 유학생들이 반발하였는데, 이 중 창총젠(張仲仁)이라는 유학생이 에르제에게 접근했다. 창은 에르제와 중국의 문화, 학문, 중국을 둘러싼 국제 정세 등을 이야기하였고, 이후로 에르제와 친구로 지내게 되었다. 창과의 만남은 에르제에게 있어 중대한 전환기가 되었다. 창과 대화하면서 에르제는 스토리 라인의 중요성과 참고 자료 조사의 필요성을 인식하게 되었고, 자신의 만화를 진지하게 생각하게 되었기 때문이다. 후에 창은 탱탱의 모험 시리즈 중《푸른 연꽃》에 등장하는 탱탱의 인간적인 친구 창의 모델이 된다. 한편, 에르제는 신문 성향에 얽매이는 만화 연재의 부정적인 측면을 고심하고 있었기 때문에, 때마침 탱탱의 모험의 판권을 원했던 카스테르만(Casterman) 출판사와 계약해서 그 출판사가 탱탱의 모험 판권을 가지게 되었다.
1940년 5월 10일에 독일군이 벨기에를 침공했다. 독일군은 벨기에 신문사들을 검열하며 압력을 가했고, 탱탱 시리즈 중 《검은 황금의 나라》를 연재했던 〈소년 20세기〉도 검열에 걸려 폐간되어 에르제는 직장을 잃게 된다. 그와 더불어 《검은 황금의 나라》도 8년간 보류된다. 할 수 없이 에르제는 독일군에 의해 유일하게 인정된 친독 성향의 신문 〈저녁(Le soir)〉에 취직해 새로운 탱탱의 모험 시리즈인《황금 집게발 달린 게》를 연재하게 된다. 이 때문에 에르제는 후에 친나치 전적을 가졌다는 비난을 피할 수 없게 되었지만, 한편으론 〈소년 20세기〉와는 다른 〈저녁〉신문의 짧은 만화 연재 규격에 맞춰 만화를 그리면서 더 유머와 박진감이 넘치는 탱탱 시리즈를 그리게 되었다. 이렇게 연재를 하는 중, 1942년 올컬러 규격 책(64 페이지)의 출판을 희망한 카스테르만 출판사는, 이러한 새로운 가이드 라인에 맞도록 지금까지의 이야기를 개작하자고 의뢰하고, 기존의 흑백 발행과 달리 컬러 발행이 시작된다. 그 최초의 스타일은 바로 1942년에 출간된 《신기한 별똥별》이다.
1944년 9월 3일, 벨기에 해방에 의해 〈저녁〉신문에 연재된 탱탱의 모험 이야기는 종료된다. 해방 이후 친나치 세력을 척결하려는 벨기에의 사회 분위기 속에서, 에르제가 독일군에 의해 관리되었던 신문에 그림을 게재하고 나치스에게 저항을 하지 않고 소극적인 태도를 보였다는 이유 때문에 벨기에 사람들은 그를 냉대했다. 따라서 에르제는 2년 정도 실직자로 지내야 했고, 만화계로 복귀할 길 또한 막막해지게 되었다. 이런 상황에서 초판 책을 카스테르만의 가이드라인에 맞게 제작하는 것은 그에 있어 고난의 연속이었다. 하지만 레지스탕스 계열의 출판업자 레이몽 르블랑(Raymond Leblanc)이 그의 재능을 알아보고 그를 만화계로 복귀시켜 주는데 많은 도움을 주었다. 따라서 그와 함께 작업한 〈탱탱〉잡지 제1호가 1946년 9월 26일에 출간될 수 있었다. 후에〈탱탱〉잡지는 에드가 피에르 자코브나 자크 코랑탱 같이 유럽만화를 이끌어가는 역량 있는 만화가들을 등단시키고 배출한다.
이런 복귀는 다행스러운 일이었지만 에르제는 개인적인 슬럼프를 겪어야 했다. 초판을 새로운 가이드라인에 맞춰 개작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었고, 그의 어머니는 전쟁 이후로 에르제의 동생(군인)에 대한 염려로 신경쇠약 증세를 보이다가 사망했으며, 결혼 생활 또한 순탄한 편이 아니었기 때문이었다. 이런 상황에서도 에르제는 섬세한 기술적 작업과 방대하고 치밀한 조사, 그리고 세부적인 일이 요구되는 《달나라에 간 땡땡》편을 그리기 위해 공동 작업자를 모집해서 에르제 스튜디오(Studios Hergé)를 설립한다. 에르제 스튜디오와 함께 더더욱 성공을 거둔 탱탱 시리즈는 광고주들의 흥미를 끌 정도의 유명인사가 되었다. 같은 시기에, 에르제는 착색 석판 인쇄 그림(CHROMOS) 콜렉션을 개발해, 탱탱은 여러 가지 분야의 지식을 소개하는 대변자가 된다. 하지만 개인적으로 어려운 상황이었고, 탱탱의 유명세가 부담이 된 데다가, 결혼 생활의 위기 상황에서 에르제 스튜디오의 컬러 작업을 맡았던 패니 블라민크(Fanny Vlamynck)와 사랑에 빠지는 등 정신적으로 큰 위기에 빠져 에르제는 신경 쇠약 증세를 보이기 시작했다. 이 증세가 심화되어 밤마다 하얀 악몽을 꾸는 등 백색 공포증이 생겨 만화를 그릴 때 지장을 받을 정도가 되자, 스위스에서 정신과 치료를 받는다. 그곳에서 정신분석학자는 그에게 만화를 더 이상 그리지 말라고 조언을 했지만 에르제는 그 조언을 받아들이지 않았고, 개인적으로 위험 부담을 안은 상태에서 1960년에 《티베트에 간 탱탱》을 완성했다. 《티베트에 간 탱탱》은 에르제의 인간적인 면모를 볼 수 있는 책으로, 탱탱과 창의 재회를 통해 인종을 초월한 우정의 가치를 보여 줘서 에르제의 탱탱 시리즈 중에서 걸작으로 꼽힌다. 하지만 이 만화책에서 그곳의 처음 배경이 스위스이고, 하얀 악몽으로 탱탱이 소스라쳐서 깨는 장면이 나오고, 이 만화의 전체적인 배경인 설산이 하얀색이라는 것은 당시 에르제의 정신적 고뇌에 대한 암시 역할을 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전쟁이 끝나고 포스트모더니즘 분위기가 사회에 형성되자, 에르제는 현대미술에 눈을 뜨고 그것이 정열의 근원이 됐다. 이런 미술 활동을 통해 에르제는 팝아트의 거장 앤디 워홀을 만나고 현재 미완성으로 남아 있는 《탱탱과 알파아트》의 영감을 받았으며, 1963년 출간된 《카스타피오레의 보석》에 영감을 받기도 했다. 이 만화책이 여태껏 보여주던 어드벤처 형식의 탱탱의 모험과는 달리 안티 어드벤처 형식의 내용이 나온 것은 이러한 맥락으로 특히 에르제가 이혼을 하고 과거의 갈등을 청산했다는 점이 부각된다. 그 후로 에르제는 세계 곳곳을 여행했는데, 1971년 첫 미국 여행에서 에르제는 진짜 미국 원주민과 만나고, 35년 전《푸른 연꽃》을 출간했을 당시에 장제스 총통에 의해 공식적인 초대를 받았던 중화민국을 방문한다. 1977년에는 사실혼 관계였던 패니 블라민크와 재혼한다. 그로부터 3년 뒤 에르제는 백혈병 진단을 받고 건강이 눈에 띄게 나빠졌다. 1981년 3월 18일에 브뤼셀에서 에르제와 창총젠이 재회하고, 1982년 에르제의 75세 생일을 축하하는 의미로 벨기에 항공 우주국은 당시 발견된 소행성에 그의 이름을 붙인다. 1983년 3월 3일, 오랫동안 백혈병을 앓고 있었던 에르제는 폐렴 증세를 동반하더니 브뤼셀의 생 뤽 병원에서 일주일 동안 혼수상태로 있다가 숨을 거둔다.
""",
"title" : "에르제"
}
},
{
"_index" : "korquad",
"_type" : "_doc",
"_id" : "pmg0t3YBIP3557OAOfsm",
"_score" : 6.7798834,
"_source" : {
"paragraph" : """《뮤》(일본어: ミュウ, 영어: Mew)는 닌텐도와 게임 프리크가 함께 만든 포켓몬스터 시리즈의 캐릭터 중 하나이다. 게임 프리크의 창립자이기도 한 타지리 사토시의 설계로 만들어진 포켓몬 시리즈는 비디오 게임, 애니메이션, 만화, 서적, 카드 등의 형태로 수십억 달러 규모의 시장을 형성하고 있다. 뮤는 포켓몬 비디오 게임, 만화 및 애니메이션 등에서 환상의 포켓몬으로 등장하고 있다. 뮤는 게임프리크 프로그래머인 모리모토 시게키의 작품 포켓몬스터 적녹에 비밀 캐릭터로 삽입되었었다. 뮤의 존재는 소문과 신화로 포장되어 포켓몬스터 적녹 시리즈의 성공에 기여하였으며, 포켓몬 배포 이벤트를 통해서만 가질 수 있게 되어 있다. 뮤는 포켓몬스터 시리즈 영화인 뮤츠의 역습과 뮤와 파동의 용사 루카리오에도 주인공으로 등장한다.
스기모리 켄의 주관 하에 개발된 포켓몬 시리즈의 다른 캐릭터들과는 달리, 뮤는 게임프리크의 프로그래머 모리모토 시게키에 의해 창조되었다. 모리모토는 일본 출시를 목전에 두고 개발자들 사이의 장난 캐릭터의 하나로 뮤를 프로그래밍하여 비밀스럽게 게임에 삽입되었다. 게임프리크의 개발자들만이 뮤의 존재를 알아내어 그것을 가질 수 있도록 하려는 생각이었다. 즉, 뮤는 포켓몬스터 적녹의 개발 최종 단계에 추가된 것이다. 그 시점에서 게임을 더 이상 변경하지 말라는 지시가 내려졌지만 디버깅을 끝내고도 캐릭터가 추가될 공간이 있었기에 추가가 가능했다. 그러나, 결국 개발자들의 의도와는 다르게 게임의 사소한 글리치로 인하여 일반 플레이어들이 뮤를 발견하게 된다.
뮤츠와 마찬가지로 뮤 또한 높은 종족값을 보유한 에스퍼 타입 포켓몬이다. 모리모토가 디자인한 뮤는, 끝 부분이 넓어지는 길고 가느다란 꼬리와 큰 눈을 가진 은은한 분홍색 고양이형 포켓몬이며, 게임에서는 푸른색 뮤가 등장한 적도 있다. 피부는 현미경으로나 보일만큼 짧고 부드러운 털로 덮여 있다. 뮤의 DNA는 현존하는 모든 포켓몬 종의 유전자 조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수줍음이 많은 성격으로 인간의 눈에 잘 띄지 않는다. 썬더, 파이어, 프리져와 뮤츠와 함께 1세대 전설의 포켓몬의 하나이며, 전국도감에는 150번의 뮤츠 와 152번의 치코리타와 더불어, 뮤는 1세대 포켓몬 중 가장 뒷 번호인 151번으로 등재되어 있다. 1세대 게임들과 그 리메이크 판에서는 홍련섬의 포켓몬 맨션에서 저널 엔트리를 볼 수 있는데, 남미의 구야나 정글의 깊숙한 곳에서 뮤가 처음 발견된 것은 7월 5일, 이름을 지은 것은 7월 10일, 뮤츠가 탄생한 날은 2월 6일로 기록되어 있다. '뮤'라는 이름은 고양이의 울음소리인 의성어 'Meow' 에서 따온 것이다.
뮤가 최초로 주요 캐릭터 중 하나로 등장한 애니메이션은 《극장판 포켓몬스터: 뮤츠의 역습》이었으며, 오래전에 멸종되었다고 알려진 역대 가장 강력한 힘을 가진 전설의 희귀 포켓몬으로 등장한다. 탐사대는 구야나 정글에서 뮤의 화석을 발견하고, 수 년 간의 연구를 통해 과학자들은 뮤의 화석의 털으로 개량하여 만든 복제 생명체인 뮤츠가 이 극장판에서 뮤의 메인 적수로 나온다. 극장판 포켓몬스터 AG: 뮤와 파동의 용사 루카리오의 백스토리에는 뮤의 미스테리한 과거와 함께, 뮤가 어떻게 그렇게 강력해질 수 있었는지에 대한 이야기가 나온다. 이 영화에서는 포켓몬 가계도가 소개되는데, 뮤가 최초의 포켓몬, 칠색조가 마지막 포켓몬이었다. 또, 만화 전율의 미라쥬 포켓몬에서는 미라쥬 뮤가 등장하여 지우와 친구들이 미라쥬 마스터를 물리치는 것을 도왔다.
철저히 기획된 이벤트를 통한 뮤의 공개 및 배포는 포켓몬 시리즈의 일본 내 성공의 주 요인으로 평가되었다. 일본에서 진행된 '전설의 포켓몬 오퍼' 에서는 애초 예상했던 3,000명을 크게 넘어서는 78,000명 이상의 응모자가 나왔다. 닌텐도의 사장인 이와타 사토루도 이 게임 시리즈의 성공은 "전설의 포켓몬 오퍼" 덕분이었다고 밝혔다. 이벤트 이후, 포켓몬 적녹의 주간 판매량이 전월의 월간 판매량과 동등한 수준이 되었으며, 계속 늘어나 3~4배에 이르게 되었다. 그러나, 게임 관련 잡지 '컴퓨터와 비디오게임'에서는 닌텐도 이벤트를 통해서만 뮤를 획득할 수 있는 배타성을 포켓몬 시리즈 최악의 단점으로 꼽으며 비판하였다. 프로 액션 리플레이와 같은 치트 프로그램을 사용하면 이벤트와 무관하게 뮤를 얻을 수 있었기 때문이었다. 많은 포켓몬 매니아들이 단지 뮤를 손에 넣기 위해 치트 프로그램을 구매하였다. UGO.com 은 '가장 멋진 숨겨진 캐릭터 25' 순위에서 뮤를 6위로 선정했다. 작가 트레이시 웨스트와 캐서린 놀 등은 뮤를 최고의 전설의 포켓몬이라 칭하였으며, 전 포켓몬 중에서도 5위로 꼽았다.
뮤는 안정된 능력치와 기술머신과 비전머신으로부터 어떤 기술이라도 습득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기에, 포켓몬스터 적녹에서 최고의 포켓몬 중 하나로 인정받고 있다. '피카츄의 세계 모험: 포켓몬의 흥망' 에 등장하는 것과 같은 허구의 캐릭터가 아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에 따르면, 귀여운 캐릭터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는 저연령대의 여자 아동들에게 뮤의 인기가 높았다. 이에 비해, 뮤와 정반대의 성향으로 묘사되고 있는 뮤츠의 경우 거칠거나 무서운 캐릭터에 매력을 느끼는 경향이 강한 고연령대 남자들에게 인기가 있었다. Media and the Make-believe Worlds of Children 에서도 유사한 비교가 나온다. 이 책은 뮤를 어린아이 같고 다정하며, 힘과 귀여움이 공존하는 캐릭터로 묘사하고 있으며 뮤와 뮤츠를 비교하는 것이 캐릭터의 매력 포인트를 짚어내는 역할의 중요함을 강조한다. IGN는 뮤를 뮤츠, 후딘, 아쿠스타와 함께 아주 좋은 에스퍼 타입 포켓몬으로 꼽았다. 그들은 뮤츠가 어떠한 기술머신, 비전머신, 포켓몬 기술 훈련 아이템을 사용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는 점을 들어 예측할 수 없는 포켓몬이며, 뮤츠와 어울리는 경쟁자라고 불렀다.
""",
"title" : "뮤_(포켓몬)"
}
},
{
"_index" : "korquad",
"_type" : "_doc",
"_id" : "jGgyt3YBIP3557OAbPp7",
"_score" : 6.7717476,
"_source" : {
"paragraph" : """온라인 플랫폼에 맞도록 처음 기획부터 디지털화한다. 즉 우리가 알고 있는 웹툰의 방식이다. 스크롤 방식의 전제하에 새로운 포맷으로 기획하는 만화의 형식이다. 스크롤 방식의 만화는 시간의 흐름을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영화적 표현이 가능하며, 페이드 인,아웃과 같은 효과를 극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스크롤 방식의 읽기가 가능해진 것은 픽셀 업데이트, 바로 리프레시 타임의 시술 발전에 기반한다. 1990년대까지만 하더라도 초창기 LCD는 리프레시 타임이 너무 느려 동영상을 보기 어려울 정도였다. 리프레시 타임은 실시간 업데이트 되는 시간으로, 화면이 최소한 1초에 15-30회 이상 리프레시되어야 한다. 그래야만 인간의 영상 인식이 불연속적인 장면을 연속적인 것으로 자연스럽게 인식할 수 있다. 이 기술은 잔상효과를 극대화시켜 마치 연속된 장면을 보는 것처럼 느끼게 하는 것인데 두루마리 형식의 읽기에서 이 기술력은 작가의 의도를 잘 표현하여 독자의 감정을 이끌어 낼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준다. 스크롤링에 따라 실간 그림이 리프레시되어야 작가의 의도대로 웹 만화 속에 감정이 묻어날 수 있기 때문이다. 2000년대 들어서서 리프레시 타임은 빨라졌고, 이를 기반으로 비로소 장편 웹 만화가 창작될 수 있었던 것이다. 또한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긴 호흡을 가지고 연재하는 장편 서사의 웹 만화가 출현할 수 있게 된것이다. 초창기에는 단지 세로 포맷의 1-4칸의 스크롤 만화였지만, 2004년 강풀은 미디어 다음에 <순정만화>를 발표해 세로 스크롤 만화에 새로운 혁신을 불러 일으켰다. 6페이지를 기본으로 많을 경우 20페이지에 가까운 분량의 스크롤 되었다.
스마트폰과 태블릿 PC의 등장은 무선인터넷의 확산 및 자율성, 애플리케이션 사용으로 인한 인터넷 접속의 간소화, 소셜 네트워크 이용으로 인한 정보교환의 용이성 등의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태블릿의 등장으로 화면의 사이즈가 대형화되고 해상도가 개선되는 등 서비스 환경이 개선되어 웹스토어 기반의 모바일 만화 서비스 시장의 가능성은 더욱 커지고 있으며, 이들 기기의 ‘이동성’은 웹툰 구독의 장소, 시간의 자율성을 확보하게 해 주었다. 예를 들어, ‘이동성’은 직장인의 출퇴근 시간, 학생들의 쉬는 시간 등의 웹툰 구독을 가능하게 할 뿐 아니라 웹툰의 업데이트와 동시에 실시간 웹툰 구독을 가능하게 해 주었다. 한편, SNS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인기 있는 웹툰의 소식을 교류할 수 있으며, 작가는 실시간으로 반응 및 작품에 대한 평가도 얻을 수 있다.
출판만화 또한 반복 컷을 사용하는 연출이 존재하지만, 이는 한정된 공간의 종이 위에 연출을 하여야 하기 때문에 연속적이고 점진적인 반복 컷을 연출로 사용하기엔 한계가 있다. 이에 비해 웹툰의 경우는 웹의 확장을 통해 점진적이고 연속적인 연출이 훨씬 자유롭다. 이를 통해 웹툰은 직접적이고 역동적인 이미지를 산출하고 있다. 특히 우리가 주목해야 할 점은 계속 스크롤바를 내리면서 감상하게 되는 웹툰의 성격상 자연적으로 모든 장면이 영화의 틸트 기법을 연출하게 된다는 것이다. 영화에서 틸트란 카메라 헤드를 상하로 부채꼴로 그리며 촬영하는 기법으로서 예를 들어 천신만고 끝에 대기업에 입사된 사람을 보여준 후 카메라를 틸트업하여 대기업 사옥빌딩의 꼭대기까지 보여준다면 대기업의 위용과 그곳에 근무하게 된 사람의 자신감을 보여줄 수 있고, 반대로 빌딩 옥상의 살인자를 보여준 후 틸트다운하여 거리에 쓰러진 피살자를 보여주면 두 사람간의 관계를 나타낼 수 있다. 웹툰은, 성격상 연속적으로 스크롤바의 이동에 맞춰 그림이 컴퓨터 아래에서 위로 흘러가는 형식이라 우리의 눈은 특정 화면의 꼭대기에서 시작하여 점점 더 화면의 아래쪽으로 내려가며 감상하게 되는 형국이 된다. 즉, 어떤 화면도 화면 전체가 한번에 눈에 들어오지 않으며 언제나 화면 위쪽부분부터 조금씩 베일을 벗기듯이 아래쪽으로 영역을 넓혀가며 볼 수 있는, 그러다가 마지막에 이르러 그 장면의 전체가 보이는 형식이 된다. 그렇기에 우리는 항상 대부분의 컷을 영화의 틸트기법으로 그려진 화면 혹은 장면으로 보는 셈이 되는 것이다.
박동숙과 전경란에 따르면, '디지털 서사'란 단순히 컴퓨터와 같은 디지털 미디어를 통해 전달 및 저장할 수 있도록 구성된 서사가 아니라 컴퓨터가 일종의 수행공간(space of performance)의 역할을 하는 서사를 말한다. 기존의 서사는 작가가 완성한 서사를 독자가 전달받는 방식으로 구현되었지만, 디지털 서사는 컴퓨터라는 공간에서 '독자'가 어떤 행위를 수행함으로써 서사의 구성에 참여하는 방식으로 구현된다는 뜻이다. 대부분의 포털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웹툰에는 댓글을 달 수 있는 공간이 있다. 각 회를 보고 난 뒤 느낀 점이나 다른 사람들과 이야기하고 싶은 화제 등을 간단히 적을 수 있는 것이다. 독자들은 댓글을 쓰고 읽으며 때로는 작품에 대해 자신과 반대되는 의견을 가진 사람과 대립하기도 한다. 시사적인 이슈를 유쾌하거나 통렬하게 풍자한 작품에는 칭찬의 댓글을, 작가가 요즘 부진하다 싶은 작품에는 따끔한 질타나 든든한 격려의 글을 남기기도 한다. 실제로 웹툰 작가들은 댓글을 통해 독자의 피드백을 받는다. 댓글을 통한 디지털 서사의 형성은 곧 '작가->독자'의 일방향 소통에서 '독자<->독자', '작가<->독자'의 다방향 소통으로의 전환이라고 할 수 있다.
웹툰 만화가들은 대개 자체적인 수익 창출보다는 급여를 받으면서 원고를 제출하는 방식으로 생활하고 있다. 급여 제공의 주된 주체는 포털 사이트이며, 대표적인 포털로는 네이버와 다음이 있다. 웹툰 시장에서 작가는 포털과 계약관계로 맺어지며 신인 작가의 경우 대부분 인터넷 포털사이트의 ‘나도 만화가’(다음), ‘도전 만화’(네이버)등의 코너를 통해 데뷔를 한다. 작가는 코너에 자신의 작품을 올리고 포털은 조회수가 많은 작품을 선별하여 계약을 하게 되는데, 계약이후 모니터링 기간을 가지게 된다. 이 기간 동안 포털은 작품의 흥행여부, 상품가치 유무를 확인하고 작가의 원고료를 산출한다. 네이버의 경우 조회수, 회차, 배경유무, 분량 등을 기준으로 원고료를 산출하며, 다음의 경우 조회수로 원고료를 산출한다. 네이버와 다음의 경우에는 수십 명 정도의 만화가들을 프로로써 고용, 만화를 무료로 누리꾼들에게 제공하고 있다. 네이버의 웹툰 서비스의 평균 조회수는 300만으로 추측된다. 인기있는 웹툰의 경우에는 댓글이 5,000개를 넘는 등 웬만한 오프라인 만화가들 못지않은 인기를 누리고 있다. 하지만 웹툰이 무료 컨테츠로 서비스 된다는 점에서 일부 유명 작가를 제외했을 때 만화가에게 직접적인 수익은 현저히 낮은 것이 사실이다. 신인 작가가 네이버·다음·파란 등 주요 인터넷 포털에서 연재를 시작할 경우 최저 고료는 회당 10만∼20만원선. 각 포털마다 작가의 지명도와 직전 작품의 원고료, 연재 주기, 규모 등의 추가 요인을 합산해 작품 단위 혹은 3개월, 6개월 주기에 한 번씩 원고료를 갱신하는 구조다. 출판사 직영사이트는 유료 서비스를 통해 수익을 내는 구조이며, 포털사이트는 서비스매출 이외에 판권료 및 러닝로열티를 받게 된다. 인기 만화의 경우 출판 만화, 캐릭터 상품, 드라마, 영화, 연극 등의 다양한 장르의 컨텐츠로 활용되면서 새로운 수익을 낳는 경우도 있다. 단행본은 작품이 온라인으로 게재된 후 선별되어 출간되며 책값은 대략 9천원 내외다. 이외에도 작품이 인기를 얻게 되면 2차 시장인 영화나 드라마, 애니메이션 등으로 나오기도 하며, 3차 시장인 문구, 완구, 의류 등 상품으로 나오는 경우도 있다.
무료만화의 경우 무료화를 통해 더 많이 노출되고, 더 큰 영향력과 이들을 얻을 수 있다는 시각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웹툰의 특성상 무료서비스가 주를 이루는데 이는 웹툰이 공짜경제모델로 사업구조를 가지고 있어 기존의 가격 질서를 붕괴하고 있기 때문이다. 한번 소비자가 무료에 노출되면 더 이상 정가의 가격으로 구매하기 어려워지고, 이로 인해 시장은 붕괴될 위험이 커지게 된다. 실제로 포털에서 인기를 끌었던 웹툰이 출판되었을 때 웹툰이 무료로 서비스된다는 사실은 이에 대한 대체제로 작용하여 출판 판매부수를 감속시키는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무료 서비스 초기에는 방문자 유인전략으로서 순기능적 역할을 하며 작가-포털-소비자 모두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강풀을 중심으로 웹툰 시장이 점점 활성화되면서 당시 침체되어있던 만화계에 웹툰은 새로운 플랫폼으로 인식되어 기존 출판만화가들이 웹툰 시장으로 진입하게 되었다. 이로 인해 웹툰 시장은 급속히 확장되며 수용자층을 늘려갔으나, 증가 속도에 비해 시장 확장은 순조롭게 이뤄지지 못했는데 이는 무료 서비스가 역기능으로 작용했기 때문이라고 평가받고 있다. 웹툰의 무료 서비스는 수용자들에게 웹툰은 무료로 볼 수 있는 콘텐츠라는 인식과 함께 도덕적 해이를 가속화시켰고, 결국 웹툰이 단행본으로 출판되었을 때 판매율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 것이다.
""",
"title" : "웹툰"
}
}
]
}
}
// 벡터 유사도 검색 결과
Enter query: 한국 만화
1420 total hits.
embedding time: 6.91 ms
search time: 11.59 ms
id: IWgyt3YBIP3557OA-vu7, score: 1.3281031
{'paragraph': '한류 (韓流, 영어: Korean Wave, 스페인어: ola coreana, 말레이어: Gelombang Korea, 터키어: Kore Dalgası, 러시아어: Корейская волна, 독일어: Koreanische Welle, 태국어: กระแสเกาหลี, 타갈로그어:àn Quốc, 우크라이나어: Корейська хвиля)는 대한민국의 대중문화를 포함한 한국과 관련된 것들이 대한민국 이외의 나라에서 인기를 얻는 현상을 뜻한다. ‘한류’라는 단어는 1990년대에 대한민국 문화의 영향력이 타국에다. 2010년대에 들어서는 동아시아를 넘어 중동 (북아프리카 포함), 라틴 아메리카 (중남미), 동유럽, 러시아, 중앙아시아 지역으로 넓어졌으며, 최근에는 북아메리카 (북미)와 서유럽 그리고 오세아니아 지역으로 급속히·29 선언으로 인해 대한민국에 민주주의가 들어서기 시작하면서 대중들은 대중문화에 대해 더 많은 관심을 가지기 시작했다. 이와 함께 SBS를 포함한 여러 케이블 TV, 위성방송 채널 등이 개국하면서 본격적인 상업 방송 도입 등 문화 콘텐츠의 질을 높이는 여러 변화가 일어났다. 이 과정에서 대한민국의 문화 산업에는 ‘기획’이라는 개념이 본격적으로 자리 잡기 시작했는데, 그 예로 1990년대에 설립된 기획 영화 제작사 ‘신씨네’, 기획중문화 산업을 감당할 수 없게 되었고, 이에 기업들은 대한민국에서 벗어나 더 넓은 시장으로의 진출을 모색하기 시작했다. 그리고 얼마 안 있어 2000년 2월에 대한민국의 댄스 그룹 H.O.T.가 베이징에서 공연을 하면서 대만에서 4위, 홍콩에서 2위, 태국에서 1위를 기록하며 성공을 거두었다. 2005년 베이징에서 열린 정지훈의 공연 “Rainy day-Beijing”은 관객 4만 명을 동원하며 큰 성공을 이루었다. 한편, 2001년 보아가 일본에서 출시00년대 초 동북아시아와 동남아시아를 중심으로 한류가 퍼지기 전부터, 1990년대 말부터 중국에서는 한류의 씨앗이 자라고 있었다. 1992년 한·중 수교가 성사된 후 처음으로 1993년에 중국중앙방송국(中國中央電視台, CC자의 관심을 끌지는 못했다. 그 후 1997년에 CCTV에서 〈사랑이 뭐길래〉(愛情是什麼)가 방영되면서 큰 인기를 얻었다. 이후에는 〈별은 내 가슴에〉나 〈의가형제〉 같은 드라마가 중국에 수출되기도 하였다. 또 1998년 영향을 주었다.\n2003년 일본에 수출된 드라마 〈겨울연가〉는 NHK에서 방영된 이후 일본 중장년 여성을 중심으로 인기를 얻었다. 이러한 인기로 인해 일본에서는 〈겨울연가〉의 주인공이었던 배용준을 욘사마(ヨン様)고, 이는 곧 드라마 촬영지를 ‘성지순례’하는 관광 붐으로 이어졌다. 이에 2004년 일본에서 대한민국을 방문한 관광객은 전년 대비 5.5% 증가했다. 2005년 〈겨울연가〉의 여주인공 역을 맡았던 최지우가 도쿄 관저에 방 더 인기가 많다”고 농담을 하기도 했다. 이러한 공로로 배용준은 2008년 대한민국에서 문화훈장을 수상했다.\n', 'title': '한류_(문화)'}
id: pmgyt3YBIP3557OAbPp7, score: 1.3076851
{'paragraph': '그러나 머지 않아 김정일이 자신의 후계자로 김정은을 지명한 것을 중국에 알리는 등 후계자 지명이 구체화 됨에 따라 후계자 지명은 기정 사실화 되었으며, 김정일 유고시 김정은의 군부 장악 가능성에 뒤를 잇기 시작했다. 그 후 2010년 9월 27일 조선인민군 대장 임명, 28일 3차 노동당대표회의에서 당중앙군사위 부위원장 및 당중앙위원 임명 절차를 거치며 김정은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가통수권 후계자로 공식된다. 10월 6일엔 김정은이 후계자로 지명된 것을 경축하는 행사를 벌인다.\n2012년 4월 11일, 김정은은 4차 노동당대표회의에서 노동당 1비서로 추대 되었고, 이틀 후인 13일에 열린 북한 최고인민회의에선 국방위원회 광명성 3호를 발사하였으나 기술적 문제로 인하여 실패하고 말았다. 또한 2012년 7월 18일 인민회의는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이자 조선인민군 최고 사령관인 김정은에게 기존 대장 계급에서 2단계 높은 원수 칭호를 부여 유일했었다. 원수 바로 아래 계급인 차수는 보직 해임된 리영호를 포함하여 현재 총 8명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n2013년 2월 12일에 함경북도 길주군에서 리히터 규모 4.9 (미국 지질조사국은 리히터 규모 5.1)의 핵실험에 있다고 위협했으며, 1991년 남북 불가침 합의 폐기와 판문점 남북 직통전화 단절을 선언했다. 이에 대한민국 국방부 김민석 대변인은 "북한이 핵무기를 가지고 우리 한국을 공격한다면 인류의 의지,대한민국은 당연하부 또한 조선인민군이 대규모 훈련을 위해 집결한 상태라며, 만약에 공격할 경우 대응 규모와는 상관 없이 응징하겠다고 강조했다. 그 후 4월 26일 대한민국의 류길재 통일부 장관이 개성공단 내의 잔류인원에 대한 철수43명만 귀환 허가를 받았다(물론 나머지 7명도 훗날 귀환하였다).\n이날 재판은 국가안전보위부 특별군사재판으로 진행됐다. 로동신문은 4일 전보다 더욱 상세히 장성택의 처형 이유를 공개했다. 신문에 따르면 장성택이된 핵심적인 이유는 군대를 동원한 군사정변을 꾀했다는 점이다. 재판과정에서 장성택은 정변의 대상을 "최고령도자동지"라고 말했다. 즉, 김정은을 직접 제거하려고 했다는 것이다. 심리과정에서 장성택은 인맥 관계에 권을 외국으로부터 인정받으려 했다고 말했다. 이어 로동신문은 장성택에 대해 "천하에 둘도 없는 만고역적, 매국노", "당과 혁명의 원수, 인민의 원쑤이며 극악한 조국반역자"라 비판하며 "세월은 흐르고 세대가 열백번유는 완벽히 알 순 없으나, 대한민국의 대북 전문가들은 장성택의 숙청 배경에 대해 다양한 의견을 내놓았다. 12월 3일 국정원이 장성택의 실각 가능성을 발표한 이후 남한에서는 장성택과 그의 라이벌로 알려진 최룡해의 보인다고 밝혔다. 최룡해는 최현 전 인민무력부장의 아들이다. 조선일보는 최룡해로 대표되는 훈신(勳臣) 세력과 장성택 등 김정은의 척신(戚臣)의 대결에서 훈신 세력이 승리했다는 분석을 내놨다. 대북 전문가 김근식 김근식 교수는 장성택이 중국, 남한 등과의 경제교류에 적극적이었던 데 비해, 군부의 중심인 최룡해는 원칙적이고 보수적인 입장이라는 점을 들었다.\n12월 9일 북조선에서 장성택의 실각 사실을 공개한 이후에는 김정을 지휘했다고 분석했다. 또한 주간한국은 장성택과 그 측근의 비리사실은 김정은의 여동생인 김여정이 주도했다고 보도했다. 김경희가 자신의 남편을 제거한 이유에 대해 이 매체는 장성택의 영향력이 지나치게 커졌다는정은으로 이어지는 김씨 세습체제를 유지하기 위해서 장성택 제거를 선택했다는 것이다.\n탈북자인 대북 전문가 이윤걸 북한전략정보서비스센터 소장은 12월 10일 자신의 홈페이지에 장성택 숙청은 김정은, 김정철, 김경근인 리룡하 행정부 부장과 장성길 행정부 부부장을 체포하고 처형한 것은 김정철이다. 또한 이윤걸은 "‘김씨왕조체제’ 하의 김정은 3대세습체제에서 단지 태조대왕(김일성)의 공주 ‘김경희’의 남편(부마)이라는 이유로 을 수 없다는 것을 이번 장성택 숙청으로 국내외에 과시한 것이다"라고 분석했다.\n2015년 탈북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 장교의 딸 임희연(가명)은 2017년 9월 3일 대한민국 서울 모처에서 영국 매체 \'미러\'(M인터뷰에서 임희연은 수업을 받던 중 군사학교로 가도록 명령 받았고, 그곳에서 음란 영상물을 제작한 혐의로 11명의 음악단을 공개처형하는 것을 목격한 사실을 밝혔다. 처형된 악단들은 묶여있었고, 소리를 낼수 없도록 형체가 없어질 때까지 짓밟았다. 북한은 이러한 과정을 1만여명에게 지켜보도록 명령하였으며, 임희연은 희생자들로부터 200피트 떨어진 상공에서 보았다고 말했다.\n김정일 3남의 이름은 김정일의 요리사로 일했던 일본어로는 キム・ジョンウン)이라 부르면서 김정운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이름이 김정운이 아니라 김정은이라는 설이 퍼졌고, 9월 중순 원산 인근에서 청년대장 김정은으로 표기된 선전벽보가 발견되었다. 일본어는 김정은이 이에 대해 원세훈 대한민국 국가정보원장은 "오래전부터 김정은이라는 첩보를 갖고 있었지만 북한이 확인해줄 사항도 아니고 이름이 중요한 사항도 아니라 발표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중화인민공화국 및 일본에서는 한 이름이 \'김정은\'이라는 것이 명확히 밝혀지면서 한자로 金正銀 또는 金正恩이라 쓰기도 했다. 10월 초, 조선중앙통신에서 김정은의 한자 표기는 金正恩이라고 밝히면서 일본 언론들과 중국 언론들은 金正恩으로 표기하 김정운과 김정은에 동일하게 적용된다.\n중국 선전 위성TV는 2013년 1월 19일 김정은 제1위원장이 할아버지 김일성 주석과 닮아 보이도록 성형수술을 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보도한 바 있다. 중국 언론인 관야오(管姚성과 꼭 닮았다`고 하자 `성형수술을 했다`고 답했다"고 전했다. 신화통신은 서울 주재 특파원과 평양 주재 특파원을 모두 연결해 보도 경위와 근거를 추적한 것으로 알려졌다. 평양 주재 특파원은 "북한에선 김정은 성형과 관련된 보도가 한 번도 없었다"며 "근거 없는 소문"이라고 말했다고 신화통신이 전했다.\n', 'title': '김정은'}
id: B2g0t3YBIP3557OA8PwM, score: 1.3069692
{'paragraph': '262명 전사1008명 부상7명 실종12명 포로총계 1298명 339명 전사1216명 부상3명 실종26명 포로총계 1584명 312명 전사1212명 부상1명 실종32명 포로 총계 1557명23명 전사79명 부상1명 실종총계 103명112 포로총계 3216명120명 전사645명 부상3명 포로총계 768명 104명 전사336명 부상1명 포로총계 441명 2명 전사15명 부상총계 17명 188명 전사459명 부상총계 647명 34명 전사9명 포로총계 43명 163명 전사448명 부상28명 1명 전사536명 부상총계 657명 129명 전사1139명 부상5명 실종총계 1273명 3명 전사총계 3명 1명 전사총계 1명\n한국 전쟁(韓國戰爭, 표준어: 6·25 전쟁, 문화어: 조선 전쟁/조국해방전쟁, 영어: Korean War, 중국어: 朝한민국을 침공하여 발발한 전쟁이다. 유엔군과 중국인민지원군 등이 참전하여 제3차 세계 대전으로 비화될 뻔 하였으나, 1953년 7월 27일에 체결된 한국휴전협정에 따라 일단락되었다. 휴전 이후로도 현재까지 양측의 유(冷戰)인 동시에 실전(實戰)이었으며, 국부전(局部戰)인 동시에 전면전(全面戰)이라는 복잡한 성격을 가졌다. 이는 국제연합군과 의료진을 비롯해 중화인민공화국과 소련까지 관여한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최대의 국제전련의 지지에 고무되어 1950년 6월 25일 38도선과 동해안 연선(沿線) 등 11개소에서 경계를 넘어 38선 이남으로 진격하였다. 이는 때마침 냉전으로 긴장되어 있는 전 세계에 영향을 미친 바, 파문은 참으로 전에 없던 것이하고 파병하였다. 그리하여 7월 7일 더글러스 맥아더 원수를 총사령관으로 하는 유엔군이 조직되었다. 인민군은 무방비 상태였던 중부지방과 호남지방을 삽시간에 휩쓸었다. 연합군은 낙동강방어선에서 배수진의 결전을 반격을 개시하여 10월 10일 평양에 이어 압록강 부근까지 이르렀으나, 11월 중순 중국인민지원군이 개입하여 전세가 다시 뒤집히게 되었으며, 이로 인해 혜산진까지 진격하던 국군은 1월 4일 서울을 빼앗기고 말았다. 그국민 방위군 사건 등의 사건이 일어났다. 이후 3년 간 지속된 전투로 수많은 군인 및 민간인이 사상하였고, 대부분의 산업 시설들이 파괴되는 등 양측 모두가 큰 피해를 입었으며, 이념적인 이유로 민간인들의 학살이 자처벌과 그 보복이 반복되면서 남·북 간의 적대적인 골이 깊어지는 결과를 낳게 되었다. 1953년 7월 27일에 체결된 한국휴전협정으로 인하여 설정된 한반도 군사분계선을 사이에 두고 휴전하였다. 현재까지 서류상으로 휴해방을 맞은 한반도는 해방 직후 타의에 의해 남과 북으로 분단되었다. 미국과 소련의 군정이 끝나고 한반도에는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부가 수립되었다. 북한은 소련과 중화인민공화국을 설득하여 한반도을 대리할 수 있는 공산 정권을 세우고, 한반도의 통일을 방해하면서 침략의 기회를 엿보아 왔다.중국 공산당은 1949년에 중화민국을 대륙에서 몰아내고 중화인민공화국을 수립하였다. 반면에, 미국은 주한미군이 철수를 하는 등 대한민국에 대한 군사 원조를 최소화해 나갔다. 이는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난지 얼마되지 않은 시기였기에, 미국은 소련 공산권과의 직접적인 군사 충돌이 제3차 세계대전을 야기할 수도 있다는 국제적인 정세를지 영국, 중화민국, 미국, 소련이 신탁 통치를 하는 내용도 있는데 즉, 38선을 경계로 남쪽엔 영국과 미국이, 북쪽엔 중화민국과 소련이 점령하기로 했는데 더 정확하게 말하면 옛날 백제의 수도가 부여였을 때에 백제의, 신의주, 해주을 포함한 서부 지역은 중화민국이 동부 지역 원산, 금강산, 함흥, 흥남, 장진, 혜산진, 청진, 나진을 포함한 곳은 소련이 점령해서 5년 간 신탁 통치를 하기로 한 것이다. 1949년에 국공 내전에서 중화민 되는 상황이었다. 하지만 1950년대가 되면 4개국이 손떼야 되는 상황이었는데 미국은 이와 반대로 즉시 독립을 주장하여 서로 엇갈린 대화 때문에 전혀 실행되지 못했다.\n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내에서 한국전쟁은 김엽 등 남로당 계열의 인사들도 찬성하였고, 군사지도자들인 강건, 김웅, 김광협, 방호산, 이권무, 김창덕, 유경수 등은 남쪽과의 일전을 고대하였고 승리를 확신하였다. 이에 비해 최용건은 적극적으로 반대하였고, 김두8회나 남침 허락 내지는 전쟁 지원을 요청하였다. 공개된 구 소련의 문서에 의하면 애초에 스탈린은 북한군이 절대적 우위를 확보하지 못하는 한 공격해서는 안 된다고 했다. 인민군의 실력이 미국과 대한민국을 상대로 로 전쟁을 치를 만한 실력이 아니라고 생각했을 뿐만 아니라, 미국과의 직접적 마찰을 두려워하여 무력 행사를 기피하였다. 그럼에도 김일성은 수 차례 스탈린을 설득하였고, 일부 역사 연구자들이 옛 소련의 문서들을 근로 김일성의 남침을 승낙하게 된다. 이리하여 스탈린은 북한에 강력한 군사적 원조로서, 소련의 무기들을 대량으로 북한으로 제공하였다.\n김일성은 조선로동당의 일당독재를 기반으로 반대파(민족주의자, 종교인 특히 북 통하여 자국 내 정치적 입지를 강하게 다지고 있었다. 또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최고인민회의 간부회의를 통하여 통일을 위하여 점령군의 즉각적인 철수를 요구하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주둔 소련군은 1948절단\'을 통해서 집행하기로 하였다. 이 회의에는 김일성 등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중화인민공화국의 고위 군부 대표도 참석하였다. 모스크바 계획이라고 불리는 전쟁준비 계획은 만주에 있던 조선인 의용군 부대를 개의 기갑사단을 갖게 하는 것이었다.\n1949년 8월 12일, 김일성과 박헌영은 대한민국이 조국통일민주주의전선의 평화적 통일안을 거부하고 있으므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대남공격을 준비할 수밖에 없으며 그렇게 이를 이해하지 못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들은, 이승만 대통령이 많은 친북 ‘민족인사’들을 투옥시켰지만 북한은 아직도 대한민국에서의 봉기를 조직할 능력을 갖추고 있다고 생각했다. 이는 1949년 남조선로동당 등의 각한 까닭이었다. 1949년 8월 27일, 북한 주재 소련 대사 스티코프는 8월 12~14일의 김일성과의 면담내용을 스탈린에게 보고하고 다음과 같은 이유로 북한의 대남공격이 불가하다고 결론을 내렸다. 1. 현재 한반도에는 두뿐 아니라 일본군의 파견을 통해 지원할 가능성이 있음. 2.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대남공격은 미국이 대소련 모함∙선전에 이용할 수 있음. 3. 정치적 측면에서 북의 공격은 남북한 인민 대다수의 지지를 얻을 수 있으 창설하였음에도 소련의 지원하에 있는 조선인민군에 비하여 약세에 있었다.(스티코프는 김일성이 제의한 강원도 지역의 \'해방구역\' 창설계획에는 찬성하고 또한 인민군에 의한 옹진점령계획도 군사적으로 타당하다고 코프는 “김일성과 박헌영은 현 정세하에서는 평화통일이 불가능하다고 생각하고 있으며 북이 남한 정부를 무력공격하면 남북양쪽의 인민들이 이를 지지할 것이라고 믿고 있다. 그리고 지금 무력통일을 안하면 통일이 연기때 소련과 중공이 원조해줄 것을 기대하는 듯하다.”고 썼다. 그의 견해는 남북의 내전은 북에 유리하나 북한군이 남한 공격을 개시하면 소련이 국제적 비난을 받게 되며 미국이 끼어들 것은 물론 남한을 적극 지원할 가능하는 것은 좋다. 옹진작전은 유리한 상황하에서는 실시 가능하고, 이를 위해 38선 지역에서 남쪽의 도발을 이용할 수 있다.”고 했다. 그러나 이에 대해서 소련 공산당 정치국 중앙위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남침이 린 만찬에서 김일성은 북한 주재 소련 대사 스티코프에게 남침 문제를 다시 제기하고 이를 논의하기 위하여 스탈린과의 면담을 희망한다는 의사를 피력했다. 이 대화에서 김일성은 중국 공산당이 중화민국을 몰아내고 중성립한 것을 계기로 고무되어 대한민국이 차지한 남한을 해방시킬 차례라고 강조하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기강이 세워진 우수한 군대를 보유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또 김일성은 이전에도 그러했던 것처럼 남한의 김일성의 불만은 이해가 되나 \'큰일\'에 관해 치밀한 준비를 해야 하며 이를 실현하기 위해 지나친 모험을 해서는 안 된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고 언급했다. 스탈린은 김일성을 접견해 이 문제를 논의할 준비가 돼 있으전해달라고 요청하였다. 김일성은 이번 방문을 46년의 방문처럼 비공식(비밀)으로 할 것을 제의하였다. 김일성은 남북한 통일의 방법, 북한 경제개발의 전망, 기타 공산당내 문제에 관해 스탈린과 협의하기를 원하였다. 만, 이 문제의 최종결정은 중화인민공화국과 북한에 의해 공동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만일 중국 공산당의 의견이 부정적이면 새로운 협의가 이루어질 때까지 결정을 연기하기로 합의하였다.\n5월 12일, 스티코프가 김일성 마오는 ‘조선통일은 무력에 의해서만 가능하며 미국이 남한 같은 작은 나라 때문에 3차대전을 시작하지는 않을 것이므로 미국의 개입을 두려워할 필요가 없다’고 말했다. 마오와 면담하기 위해 5월 13일 베이징으로 출발 위해 중국이 노획한 일본 및 미국무기를 제공해줄 것을 요청할 계획이다. 50년 6월께로 예정하고 있는 남침계획을 구체적으로 수립하라는 지시를 북한군 총참모장에게 시달했다. 작전이 6월에 개시될 것이나 그때까지 준다르므로 북한이 행동을 개시할 수 있으나 최종결정은 마오쩌둥과의 협의를 통해 이뤄야한다’고 했음을 설명했다. 5월 14일 스탈린은 마오쩌둥에게 보낸 특별전문에서 “국제정세의 변화에 따라 통일에 착수하자는 조선사지 연기되어야 한다.”고 했다. 5월 15일, 모스크바의 메시지를 받은 뒤 마오는 김일성 · 박헌영과 구체적으로 의견을 교환하였다. 김일성은 북한이 ‘군사력 증강-평화통일 대남제의-대 한민국쪽의 평화통일 제의 거부 뒤 가능성은 별로 없는 것으로 보나 미국이 2만~3만명의 일본군을 파견할 가능성을 전혀 배제할 수는 없다고 답변했다. 그러나 일본군의 참전이 상황을 결정적으로 변화시키지는 못할 것이라고 말했다. 마오는 만일 미군이에 전투행위에 참가하기가 불편하지만 중국은 이런 의무가 없으므로 북한을 도와줄 수 있다고 했다. 북한이 현 시점에서 작전 개시를 결정함으로써 이 작전이 양국간 공동의 과제가 되었으므로 이에 동의하고 필요한 협력, 또한, 김일성은 새로 창설된 사단들이 6월말까지 준비 완료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일성의 지시에 따라 북한군 참모장이 바실리예프 장군과 함께 마련한 남침공격 계획을 북한지도부가 승인하였고, 군조직 문제는 6월 1세를 갖추게 된다는 것이었다. 김일성은 6월말 이후는 북한군의 전투준비에 관한 정보가 남쪽에 입수될 수 있으며 7월에는 장마가 시작된다는 점을 지적했다. 6월 8~10일께 집결지역으로의 병력이동을 시작할 것이이라고나 일기관계로 6월로 변경할 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 6월 11일, 대한민국은 통일민주조국전선이 제의한 평화통일안을 거부했다.\n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한국전쟁을 준비함에 앞서 대한민국의 정보를 상당부분 알고 있된 조선인민군 정보문건에 의하면 대한민국 각 행정 소재지의 군(郡) 단위까지 1950년도의 쌀, 보리 등의 모든 농작물 예상 수확량이 세밀하게 기록돼 있었다. 조선인민군은 이 정보를 바탕으로 대한민국에서 한 해 동안 매겨 놓았다. 그리고 대한민국 영토인 청단지역에서는 해방전부터 농업용수로 사용한 구암저수지의 수로를 북한이 일방적으로 끊음으로써 청단평야의 영농을 못하도록 하는데 서슴지 않았다. 그리고, 전쟁 보름 전(6월 8선에서 교환하자며, 6월 23일을 협상기일로 제안하기도 했다. 이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부수상 겸 외무상인 박헌영의 강력한 요구에 따른 것이었다. 1950년 6월 16일 이승만은 북에서 먼저 보내라는 요구를 했고, 6한, 6월 16일에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최고인민회의가 대한민국 국회에 평화통일 방안을 제의하기도 했다.\n그러나, 조선인민군은 그 이면에서 전쟁 준비를 마무리해 갔다. 즉, 6월 12일부터 인민군은 38선 이북 10~은 1개월 기간으로 3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6월 20일, 스티코프는 모스크바에 조선인민군의 수륙양용 작전용 선박공급과 소련군 수병을 함께 제공할 수 있는지 여부를 문의했다. 모스크바 시간으로 오후 10시 스티코프는렸다는 첩보가 북한쪽에 오후 8시 부렵 입수되었다고 보고했다. 스티코프는 이 첩보가 공개문서로 돼 있어 의심스럽다고 평가했다. 6월 21일, 스티코프는 스탈린에게 김일성의 메시지를 전달했다. 이 메시지에는 조선민주고 있다는 내용이 들어 있다. 김일성은 전에 구상했던 옹진반도에서의 전초전을 수행치 않고 6월 25일 전 전선에 걸쳐 전투행위를 시작하는 것이 목적에 부합한다고 말했다. 6월 21일 밤에, 조선인민군은 2차에 걸쳐 북한 통해 포착했다고 주장하였다. 소련은 조선인민군 군함에 근무할 소련수병 파병요청에 대해 이는 적군이 개입할 수 있는 구실이 되므로 수락할 수 없다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답신하였다. 6월 22일 조선민주주의인평양과 소련 외무성간에는 전보 교신이 중단되었다.\n대한민국의 이승만 대통령은 귀국한 지 얼마 안 되는 입장으로, 대한민국 내의 정치적 혼란을 겪고 있었다. 박헌영과 같은 좌익 정당, 또 김구와 같은 국내파의 민족동가들, 그리고 이승만과 같은 해외파 독립운동가들은 서로를 불신하였고, 그 결과 대한민국은 여러 개의 정당이 난립되는 등 심각한 정치 사회적 문제에 직면하고 있었다. 김규식 등은 좌우파의 합작과 협력을 추진해왔했으나, 김일성이나 이승만이나 모두 강경한 태도를 조금도 굽히지 않았으므로 모두 실패로 돌아가고 말았다.\n한편, 미국 군부는 한반도를 \'전략적으로 포기할\' 계획을 세우고 있었다. 미국 군부 수뇌부의 사고관에서한다고 생각하면, 한반도 남쪽에 주한미군을 배치할 수 없었다. 한반도에서 3차 대전이 발발할 경우에 한반도에 투입될 소련 육군과 미국의 육군은 군사학적으로 근원적인 한계가 있었다. 소련과 한반도는 땅으로 연결되서 전혀 필요가 없었다. 어떠한 작전이라도 공군전과 해군전은 한반도를 우회해서 충분히 수행이 가능하였다. 그렇기 때문에 미 군부는 잠정적으로 한반도에서 주한미군을 철수시키고, 만일 소련이 대대적인 도발을 감행웠다. 이것이 미 군부가 1946년 비밀리에 수립한 핀서 계획과 문라이즈 계획이다. 핀서 계획과 문라이즈 계획의 도서방위선 구상이 바로 주한미군의 전면 철수를 명시한 애치슨 라인의 원형이다. 결국, 대한민국 정부의 에게 적극적인 군사력 지원을 제공한 소련과 달리, 위와 같이 미국은 이승만이 강력한 군사력을 보유하는 것을 원치 않았고, 그 결과 대한민국의 군사력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비하여 매우 취약한 상태에 직면하게의 우리 동포들은 우리들이 소탕할 것을 희망하고 있다."고 말하는 등 \'북진통일론\'을 주장했다. 또한 채병덕 육군참모총장은 라디오 방송에서 "아침은 개성에서 점심은 평양에서 저녁은 신의주에서 먹겠다."며 호전적군사력이 취약했던 것을 보면 분명히 실현가능성이 없는 공상일 뿐이었으나, 북한은 이를 전쟁의 빌미로 이용하려 했을 것이라는 주장이 있다.\n1949년 말, 육군본부 정보국은 1950년 춘계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3을 확정(1950년 3월 25일)하고, 예하 부대에 이를 하달하여 시행토록 하였다. 이 국군방어계획은 신태영(申泰英) 육군총참모장의 지시로 육군본부 작전국장 강문봉(姜文奉) 대령이 중심이 되어 작성되었다. 전쟁 발발 1주전국장에 있었다. 그는 매일 적정(敵情)판단보고서를 읽었는데 이 보고서에 조선인민군의 병력이동상황이 소상하게 기록되어 있었고 병력집결이 완료되면 남침할 것이라는 분석자료도 있었다. 이러한 정보를 신성모 국방 정보는 군사원조를 얻기 위한 것으로 경시하는 일이 빈번했다. 신성모는 대통령이 명령만 내리면 바로 전쟁준비를 마치고 북침을 하겠다고 망언을 했고 전쟁을 원하지 않았던 미군은 국군의 전차와 전투기 모두 압수하고북한이 남침 준비한다는 정보를 수없이 보냈지만 신성모는 북한은 절대 남침을 안한다고 정보를 무시했고 1950년 6월 23일 정보국에서 북한이 남침한다는 정보를 보냈으나 신성모는 남침정보를 매번 무시하였고 채병덕에이일로 인해 정보를 받은 북한은 큰 손실 없이 남침할 수 있는 유일한 기회였고 한국전쟁이 일어난 원인이 되었다.\n한편, 제헌국회의 임기가 끝날 무렵 대한민국 정부에서는, 정계는 물론이고 일반의 물의를 무릅쓰고 제 주장을 변경하여 제2대 국회의원 선거를 실시하였다.(1950년 5월 30일) 선거의 결과 무소속 의원이 국회 의석의 과반수를 점하여 압도적인 우세를 보이고 몇몇 중간파 의원들이 두각을 나타냈으며, 정부측 여당의 진출은수(有償買收) · 유상분배(有償分配)를 원칙으로 하고 있으므로 사실상 토지개혁의 의의가 희박하여, 국민이 노골적으로 정부에 반감을 표시한 결과라고 속단하고 이때에 남침을 감행하면 틀림없이 대한민국 국민의 지지를2주 전 대부분의 지휘관을 교체하고, 1주 전 대부분의 전방 부대의 위치를 변경하고, 전방 부대의 중화기와 차량 중 60%가량을 후방으로 보내는 등 개별적으로는 이해가 가나 종합적으로는 상식으로는 도저히 이해할 수 군지휘부(이승만, 채병덕 참모총장, 김백일 참모장, 신성모 국방부장관, 김경근 국방부차관) 안에 통적 분자가 있다고 주장하게 되는 원인이 되며, 일각에서는 이승만 남침 유도설의 근거가 되었다.(이형근은 군번 1번 을 정당화하고자 하는 주장에 따르면, 대한민국 국군이 침입한 횟수는 432회에 이르고, 그 가운데에 71회는 비행기 침입, 42회는 함대습격도 포함 되어 있었다. 물론 대한민국 공군은 지역의 정찰만을 위해 쓸 수 있는 L으로 캐나다로부터 구입한 T-6 텍산 10대가 전부였다. 충돌은 황해도 옹진 반도에서 강원도의 양양까지 걸쳐져 있어 단순한 국부적 충돌이 벌어지고 있던 셈이었다. 그 가운데 옹진 반도, 개성, 의정부, 춘천 그리고 강릉처에서 마치 한국군의 전력이라도 시탐하듯 빈번한 도발을 자행하다가 1950년 봄에 와서는 거의 매일같이 개성과 백천등 38선 연변도시에 박격포사격을 가하였다. 그러나 당시 대한민국은 전국을 통틀어 항공기는 고작 2었다. 또한 함정은 36대 보유하였을 뿐만 아니라 조선인민군이 선제공격했다는 당시의 목격담도 끊이지 않았다.\n1950년 6월 당시 북한군은 13만 5천여 명의 지상군을 확보하고 있었는데, 이때 대한민국의 병력은 정규군선 방어를 위해 서쪽에서부터 17연대(옹진반도)-1사단(청단∼적성)-7사단(적성∼적목리)-6사단(적목리∼진흑동)-8사단(진흑동∼동해안)을 포진해 놓았다. 후방인 서울에는 수도경비사령부를 두고, 대전에 2사단, 대구에 3사단 최용건 부원수를 앉히고(1948년), 지금의 한국 육군 야전군사령관에 해당하는 전선사령부를 만들어 김책(金策) 대장(4성장군)을 사령관에, 강건(姜健) 중장(2성장군)을 참모장에 임명했다. 그리고 전선사령부 밑에는 서(金光俠) 중장을 임명했다. 6월 12일부터 북한군의 38선 배치를 위한 부대 이동은 시작되었으나 38선에서 떨어져 있던 부대들이 일제히 남하했다. 23일에 완료된 북한군의 38선 배치 병력을 보면 10개 보병사단과 1개 전이, 2군단에는 2사단-12사단-5사단이 배속되었다(서쪽에서부터). 그리고 예비부대로 13사단은 1군단에, 15사단은 2군단에 배속하고, 10사단은 총예비대로 북한 방어를 위해 평양 지역에 배치해두었다. 북한군과 별도로 조는 부대로 38경비대(한국의 전투경찰대와 흡사) 3개 여단을 편성했다. 이중 3경비여단은 국군 17연대가 포진한 옹진반도 바로 북쪽에 포진해 있었다\n북한군은 소련제 T-34/85형 탱크 242대, 야크 전투기와 IL폭격기 200 쓸 수 있는 L-4 연락기 및 L-5 연락기 외에, 전쟁 발발 직전 국민 성금으로 캐나다로부터 구입한 T-6 텍산 10대를 추가한 것이 전부였다. 육군은 탱크와 기갑 차량(장갑차)은 전무했으며, 유일한 독립 기갑연대의 장비는레이하운드 장갑차 1개 대대가 전부였다. 대전차 화력으로는 보병용의 2.36인치 바주카포와 포병 병과의 57mm 대전차포가 있었지만, 그것은 성능이 향상된 후기형T-34를 상대하기에는 힘든 무기였다.\n소련의 붕괴 이후 대규모의 대한민국 침입을 계획하고 스탈린의 재가를 얻어 개시된 것으로 밝혀졌다. 이 과정에서 스탈린은 김일성의 재가를 무려 48번이나 거절하고 전방 위주의 게릴라전만 허용했지만 김일성의 강력한 의지를 꺾을 수 영국 정보기관에서 나온 문건에 따르면, 스탈린은 김일성에게 \'미국은 대한민국을 지켜 주지 않을 것\'이라고 말한 바 있다.\n이승만의 제1공화국의 북진 통일론이 대남 도발을 촉진시켰다는 설이다. 이승만은 여러 차증강시키기 시작했고, 미국이 국군을 강화시키면 이승만이 무력통일을 추구할 것이라고 판단,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예방적 조치를 취했다는 주장이다. 하지만 한미공모설은 위 항목에 관련된 구 소련의 문서공개로,침가능성이 낮게 평가한 보고서를 작성하였고 북한이 소련의 철저한 위성국가로 독자적인 전쟁 수행능력이 전혀 없다고 보고 있었다.\n북한의 김일성의 명령 하에, 대한민국이 공격해 왔으므로 부득이 반격한다는 허위 선시 경, 38도선과 동해안 연선(沿線) 등 11개소에서 경계를 넘어 대한민국을 기습 남침하였다. 대한민국은 수적으로 열세인데다 장비도 부족했다. 오전 9시경에는 개성방어선을 격파하고 당일 오전에 동두천과 포천을 함락 조선인민군의 전차에 의해 붕괴되었다. 28일 새벽에는 서울 시내가 점령되고, 오전 2시 30분에 미국 공군 항공기가 한강에 있던 한강 대교를 습격해 “당시 미 공군이 사용하던 항공기 투하용 ‘AN-M64’ 미제 폭탄”으로 한켰 고, 이후 서울에는 공산군이 주둔하게 되었다.\n북한의 남침은 때마침 냉전으로 긴장되어 있는 전 세계에 미친 바, 파문은 참으로 전에 없던 것이었다. 전쟁이 발발하자 본국과 연락이 두절된 주미 한국대사 겸 UN 한야 협의한 결과 한국문제를 익일 UN안보이사회에 긴급제소하여 25일과 27일의 결의로 북한을 침략자로 규정하고 즉시 38선 이북으로 철퇴할 것과 회원 국가는 이 침략자를 원조하지 말뿐 아니라 이를 격퇴시키는데 협력할일에는 미지상군의 한국 출동을 명령함과 동시에 한국 전 해안의 해상 봉쇄를 명하였다. 그 사이, 6월 28일 서울은 조선인민군에게 함락당하였으나 장면은 \'미국의 소리(Voice of America)\' 방송을 통해 유엔 결의 사항깃발이 처음으로 전장에 나타나게 되었다. 7월 14일에는 대한민국 국군의 지휘권이 미군에게 넘어갔다. 윌리엄 F. 딘 소장이 행방불명이 된 것으로 유명한 대전 전투(7월 20일)를 비롯한 전쟁 초기에 있어서 미국 제24사것이다. 한편 대전을 넘어선 북한군은 진로를 세 방면(호남, 경북 왜관(낙동강), 영천 및 포항)으로 침공을 계속하였다. 북한군은 호남 평야를 휩쓸고서 남해안 연안으로 침입하는 한편 경북 북부 전선과 동해안 전선과 이르렀다. 이러한 북한군의 공세에 밀린 대한민국 정부는 대전과 대구를 거쳐 부산까지 이전하였다. 한 · 미 연합군은 낙동강을 최전선으로 동해안의 포항으로부터 북부의 왜관 남부 해안의 마산을 연락하는 워커 라인(나 16일 미국 공군 B29의 전략적 대폭격으로 말미암아 완전 궤멸되었고 한편 이 사이에 연합군 병력은 한국군 5개 사단을 비롯하여 미군 4개사단, 영국군 2개 대대, 호주군 1개 대대 그 밖에 10개국에서 파견된 수만의 연 마침내 9월 15일 더글러스 맥아더의 총지휘하에 인천 상륙 작전을 감행하여 성공하였다. 9월 28일에 낙동강 방어선을 넘어 대대적인 반격을 개시했으며, 같은 날 서울 중앙청에서 이승만 대통령은 맥아더 원수를 동반하를 부여함으로써 본격적인 북진이 전개되어 10월 19일에는 조선 민주주의 인민 공화국의 수도인 평양까지 다다랐고(10월 20일), 26일에는 국경지대인 초산까지 이르렀다. 그러나, 중화 인민 공화국의 중국 인민 지원군 211월 28일) 전세가 요동치게 되었으며, 연합군은 장진호 지구의 혈전을 전사(戰史)에 남기고 철수 작전을 시작하여 서울 시민은 또다시 쓰라린 1·4 후퇴를 겪게 되었다. 그 와중에 거창 양민학살 사건, 국민 방위군 사건대의 전차를 앞세우고 38선을 넘어 옹진 · 개성 · 동두천 · 춘천 · 인악(仁岳) 등지의 육로와, 동해안을 돌아 삼척(三陟) · 임원진(臨院津) 등지에 상륙하여 일제히 공격해 왔다. 북한군 3경비여단과 6사단 소속의 14연대3사단은 한국군 제7사단을(의정부 지구), 북한군 2사단과 12사단은 한국군 6사단을(춘천 지구), 북한군 5사단은 12사이드카연대를 배속받아 한국군 8사단(강릉 지구)을 밀어붙였다. 단 한 대의 전차도 없는 무방비 상태에장병들을 전원 귀대시키고 후방 사단들로부터 5개 연대를 일선에 급파하였으나 26일에 옹진반도의 한국군 17연대는 할 수 없이 철수했고, 치열한 공방전(攻防戰) 끝에 의정부가 적의 수중에 들어갔으며, 27일 저녁에는 서전차부대의 일부는 이미 서울 시내에 침입했으며, 정부는 대전으로 후퇴했다. 28일 새벽 3시 한강 인도교가 예정시간보다 앞서 폭파되고, 한강 이북의 한국군은 총퇴각을 감행해, 북한군 전투기가 상공을 나는 가운데 도니 28일에는 수도 서울이 적에게 완전 함락되었다. 육군본부는 수원으로 후퇴하고 도강한 한국군 부대들은 통합재편되어 한강 남안에 방어선을 구축했다.\n한국 전쟁 발발일(1950년 6월 25일) 청단(靑丹), 연백(延白), 개직전, 한국군 제1사단 휘하에는 제11, 12, 13연대가 배속되어 있었다. 제12연대는 청단군에서 개성시까지 80km, , 제13연대는 제12연대 배치지역의 서쪽 끝인 예성강 유역부터 20km(즉, 대원리(大院里)-원당동(元堂洞) 구단과 제6사단이 포격과 그에 이어, 전차부대를 앞세워 38선을 넘어 전투를 개시하자 제 12연대는 초전(初戰)에 분산되어 개풍군 남단의 한강 최하류에서 강을 건너 김포 반도(金浦半島)와 문산리로 철수하였다. 제11연대제1사단의 서쪽에 위치한 한국군 제 7사단이 후퇴함으로써 서쪽이 취약해지게 되고, 이 틈에 북한군 제6사단의 일제공격에 밀려, 제11연대는 임진강 방어선에서 물러났다. 또한 제13연대도 파평산에서 북한군에 저항하지\n6·25 발발 직전, 의정부 포천 지역의 38선은 제7사단(사단장 유재흥)의 예하 제1 · 9연대와 포병, 공병이 방어를 담당하고 있었다. 제1연대는 동두천 정면(서쪽), 제9연대는 포천 정면(동쪽)에 배치되었다. 한편 북한군준비를 해 두었다. 발발 당일, 영내에 대기하고 한국군 제9연대를 북한군 제3사단이 공격을 시작하였다. 경계임무 중이던 제9연대 제2대대는 북한군의 포격에 후퇴할 수 밖에 없었다. 제2대대장의 전황 보고를 받은 제9연했으나, 북한군 제3사단 제7·9연대는 호국로를 따라 남침을 계속했다. 이에, 제1·3대대는 끝내 흩어지고 다음날 의정부 등에서 집결했다. 한편, 수도경비사령부 예하의 제3연대가 포천에 급파되어 소흘읍 송우리 부근에서 축석령으로 후퇴를 거듭했다.(이상, 6월 25일) 이로써 의정부가 급박한 상황이 되었다.\nUP통신사의 서울주재 특파원 잭 제임스(Jack James)가 발송한 전문(電文) 기사 내용에 대하여 UP통신사의 도널드 곤잘레스(Donal다.(오전 11시 4분) 주한 미국 대사 존 무초도 11시에 워싱턴D.C.에 전화를 걸어 “북한군이 한국에 대한 전면 공격을 개시했다”고 보고했고, 북한의 공격 상황을 국무부에 전달했다. 워싱턴 당국은 이 공식보고를 6월 24국무부 동아시아태평양담당국 차관보 딘 러스크는 동국(同局) 섭외관 브래들리 코너스로부터 전쟁 발발 사실을 보고받고, 주한 미국 대사 존 무초에게 잭 제임스가 타전한 기사(전쟁 발발)의 사실 여부를 확인하라는 지시14시간 뒤에 육군성본부에 도착했다. 그러나 맥아더는 주한 미군 군사 고문단의 요청에 따라 개전당일부터 합참의 지시도 받지 않고 한국군 지원조치를 취하기 시작했다. 1950년 6월 26일 밤 10시 반경 이승만은 도쿄에 서울 시민들이 서울 안에 그대로 머무르도록 독려한 반면 그 자신은 방송 진행 중에 각료들과 함께 특별열차로 대전으로 피신하였다. 6월 27일 새벽 2시에 이승만은 서울 시민들을 버리고 대전행 특별 열차를 타고 대전으사흘을 머무른 뒤, 7월 1일 새벽에 열차편으로 대전을 떠나 이리에 도착하였다. 7월 2일에는 다시 목포에 도착하였고, 배편으로 부산으로 옮긴 뒤 7월 9일 대구로 옮겨갔다. 6월 27일 아침 6시에 서울중앙방송은 수원 천오자 그 때서야 서울 시민들은 대피하기 시작했다.\n대한민국 정부는 북한군이 한강을 넘어서 진격할 것을 우려해 6월 28일 새벽 2시 30분경 아무런 예고도 없이 한강에 단 하나뿐인 다리였던 한강철교를 폭파하였다. 이한강 철교의 폭파로 국민들은 오도가도 못하게 되었다. 지금까지도 정부의 이 같은 실책은 비판을 받고 있다. 당시의 전황으로 볼 때 6~8시간의 여유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조기 폭파로 인명 살상은 물론 병력과 물자 수체포해 9월 21일 사형을 집행했다. 최창식은 12년 만에 재심을 거쳐 1962년 무죄 판정을 받아 사후 복권되었다. 한강 철교의 폭파는 신성모국방장관이 지시했지만, 총리 이범석이 건의하였다는 주장도 있다. 한강 철교의들은 오도가도 못하게 되었고 조선인민군은 서울을 넘어 부산, 포항과 경상도 동해안, 대구, 울산, 경주, 영천과 그 이남을 제외한 모든 지역을 점령하게 되었다.\n6월 28일 새벽 인민군의 탱크가 서울 중심부에서 목격되한 포위계획 실패, 둘째 도하장비 부족, 셋째 남로당 책임자인 박헌영이 전쟁 발발시 20만 명의 남로당원의 일제 봉기로 대한민국 자체가 조기 붕괴시키겠다고 호언 장담하며 이를 기다리자고 주장 하였다는 3가지 설이 은 의정부에서 조선인민군에 패퇴하고 남은 병력이 지금의 동작대교에서 광나루까지 방어진을 구축하고 조선인민군의 도하를 저지하는 임무를 맡았다.\n남한 정부는 25일 북한군이 남침을 개시한 즉시로 주미 한국대사 대책을 건의, 북한군의 즉각 철퇴 촉구를 결의케 했다. 27일 재개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는 다시 ‘공산군의 무력 침략을 배제하는 데 필요한 원조를 한국에 보낼 것을 모든 유엔가입국에 권고하자’는 미국 대표의 제안을어 29일에 영국과 네덜란드의 해군이 출동하고 30일까지 총 32개국이 한국을 원조하기로 결의했다. 7월 7일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는 영국과 프랑스의 공동 제안에 의해 ‘한국 출전 유엔군의 총사령부 설치 및 유엔기(旗) 하는 동시에 미국으로 하여금 유엔군 총사령부 보고를 유엔에 제출케 하였다. 이때까지 소련은 그해 1월 13일 이래 중국 대표권 문제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 참석을 거부하면서 다만 국외자의 입장에 서서 유엔군의 한7일자로 유엔에 재참석할 것을 통고해 오기에 이르렀다. 유엔의 이와 같은 결의는 세계 역사상 국제정의(國際正義)에 입각한 최초의 유엔군을 탄생시킨 것으로서 국제평화의 수호를 위한 획기적인 거사였다. 7월 7일의 유 도쿄에 유엔군총사령부를 설치하고 맥아더 장군을 총사령관에 임명, 7월 14일 유엔기가 맥아더 장군에게 전달되고, 이 날 이승만 대통령은 한국군을 유엔군 총사령관 지휘 하에 편입시키겠다는 공식서한을 발송하자 맥아장을 예비군 사령관으로 전임시키고, 새로 정일권(丁一權) 준장이 총참모장이 되어 한강 이남 방어선을 재정비했으나 경부선 가도를 따라 전차사단을 앞세우고 돌진하는 적 주력부대에게 수원을 빼앗기고 육군본부가 다시대가 1개 포병대와 함께 오산(烏山) 남방에서 최초로 공산군을 맞아 싸웠으나 33대의 전차를 앞세우고 들어오는 적의 대부대에 완전 포위되어 많은 전사자를 내고 포위망을 탈출, 후퇴했다. 유엔군이 치른 최초의 전투가에는 대전 시내에 돌입, 3개 사단의 병력으로 집중공격을 가해 왔다. 여기서 미 제24사단장 딘 소장은 몸소 적 전차에 수류탄을 던지며 용전하다가 행방불명이 되었다.\n7월 1일 영국과 프랑스는 “유엔군사령부의 설치와결되었다. 이에 따라 미국을 비롯하여 오스트레일리아 · 벨기에 · 캐나다 · 콜롬비아 · 프랑스 · 그리스 왕국 · 에티오피아 제국 · 룩셈부르크 · 네덜란드 · 뉴질랜드 · 필리핀 · 태국 · 터키 · 영국 · 남아프리카 연방 쟁에 참전하기 위해 자신의 계급을 스스로 중장에서 중령으로 강등시키고 대대장의 직함으로 프랑스 군을 이끌고 미군에 예속되어 참전하였으며 터키군의 영웅 타흐신 야즈즈 장군 역시 2개 여단 병력을 이끌고 참전했다기 위해 참전했다. 이들 중 총을 미처 준비하지 못한 이들은 본국에서 창과 화살을 준비해오기도 했으며 미군에서 총을 지급해주기도 했다.\n미국은 제2차 세계 대전 참전 시에 의회가 선전포고를 결의한 것과는 달리, 한트루먼이 미 극동군사령관 더글러스 맥아더에게 지상군 투입과 38선 이북의 군사 목표를 폭격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함(6월 30일)에 따라, 맥아더는 주일 미 제8군 사령관 월턴 워커 중장에게 “제24사단을 한국으로 이동 부대는 대대장인 찰스 스미스 중령의 이름을 따서 스미스 부대로 알려졌다. 스미스 부대는 오산 북쪽 죽미령에서 조선인민군과 첫 교전을 하여 큰 피해를 입었다. (7월 5일, 오산 전투) 스미스 부대의 무참한 패배로 미지상군의 전선 투입이라는 위세만으로 조선인민군의 남침이 중단되기를 바랐던 더글러스 맥아더나 윌리엄 F. 딘의 한가닥 기대는 산산조각 나고 말았다. 나중에 더글러스 맥아더의 뒤를 이어 유엔군을 지휘하게 되는 매슈다. 그러나 맥아더는 스미스 부대의 참패를 성공이라고 자평했다. 미 지상군 참전에 예기치 않던 인민군이 미군 참전을 직접 목격하고 소련 전법에 따라 일단 전선을 재정비하면서 미군은 10일을 벌었다는 것이다. 이에 군과의 교전으로 총격제일성을 신호로 한 이래로 국도를 선혈로 물들이는 치열한 각축전이 시작되었다. 그리하여 제21연대와 더불어 천안-전의-조치원을 연하는 선을 중심으로 일진일퇴케 된 결과, 7월 12일에 마침내 금에 투입했다. 딘 소장은 대전에서 적의 선봉을 꺾고, 한강까지 북상하여 방어선을 구축하겠다고 장담했으나, 미 육군 24사단도 T-34에 대적할 화기가 없었다. 대전을 공격하는 조선인민군은 군인들의 숫자도 많았고, 사기주하고 말았다. 사방에서는 압도적인 숫자의 조선인민군이 밀려왔고, 지휘계통이 무너진 가운데 미 육군 24사단은 무질서하게 후퇴했다. 제24사단장인 윌리엄 F. 딘 소장은 함께 후퇴하던 부상병에게 먹일 물을 구하던 중 대전을 빼앗기고 난 다음에 대구를 거쳐 부산을 임시수도로 정했다.\n한때 이승만은 일본 야마구치현에 망명정부를 설치하는 방안도 세우고 있었다. 정권 관리들은 한반도와 지리적으로 가까운 야마구치현에 망명정부 수소학교를 망명정부 시설로 확보하는 방안과 일본 정부에 대해 특별 식량배급요청 여부를 검토하기도 했다. 1950년 6월27일 이승만은 대통령과 내각으로 구성된 망명정부를 일본에 수립하는 방안을 주한 미국 대사에게 문에 보고되었다. 한편, 미국은 방어선이 무너질 때 대한민국 정부와 군인 60만 명을 이동시켜 서사모아 제도 근처의 사바이섬이나 우폴루섬에 새로이 \'신한국\'을 창설한다는 계획을 수립하고 있었다고 한다.\n전쟁발발 은 미국 CBS와의 인터뷰에서 "조선인민군의 행동은 38선을 제거시켜 주었고, 38선에 의한 분단이 지속되는 한 한반도에서 평화와 질서는 결코 유지될 수 없다.", "침략자를 격퇴하는 데 있어 한국군은 결코 38선에서 멈추존 무초에게 그러한 언명을 모든 것을 다해 어떻게든 막으라는 전문을 화급히 치도록 했다. 미국은 38선에서 정지할 것이며, 조선인민군을 그렇게 하였듯이, 대한민국 국군을 그곳에서 막을 것이라는 미군의 성명도 발표 절망에 빠져들어 우리는 어떻게 공산주의자들을 저지할 것인가 걱정하고 있었다. 장면과 이승만의 언명 속에서 대한민국의 리더십이 6월 25일의 침략을, 일방적으로 밀리고 있을 시점부터 이미 통일의 호기로 여기고 있보병 제27여단의 지원을 받아가며 북방으로 4Km를 반격, 뒤이어 이 날 미 제 24사단과 해병사단의 응원 출동이 있어 23일까지는 대구 북방의 전세를 완전히 역전시켜 낙동강 이남 지역을 확보했다. 이 후 북한군은 대구를 보병사단(4·6·7·9)과 1개 전차연대(105사단 16연대)가 집결하고, 동부전선 포항 북방에 역시 4개 보병사단(5·8·12·15)과 1개 전차연대(105)가 집결하여 9월 3일 12시를 기하여 동시에 유엔군을 공격해 왔다. 그러나 북한국 측 대표 단장 장면은 8월 유엔 안보리 회의에서도 옵서버 자격으로 자리 잡고 앉으려고 대기하고 있었다. 그러나 말리크는 끝내 장면의 착석을 거부했다. 또한 말리크는 “6‧25 동란은 인민군의 남침에서 시작된 것이 고 주장하였다. 소련 측 대표의 이런 역선전을 미리 예상한 장면은 미국 측 대표 오스턴과 짜고 한국 전선에서 노획한 소련제 소총 한 정을 증거물로 제시하고 반박하였다. 말리크는 “이번 싸움은 한국 사람끼리의 싸움이다. 미국 측 대표 오스틴은 장면이 한국 전선에서 가져온 ‘1950년 소련제’라는 철인이 찍힌 소총을 증거물로 제시하였고, 소련 측이 제시한 대한민국의 북침 주장과 소련의 불개입 주장은 논파당하였다.\n장면 대표는 9월 UN 안보리 이사회에도 참석하는데, 9월 안보리 의장국은 영국이었다. 9월 1일, 글랜드윈 접 영국 측 대표가 안보 이사회의 사회를 맡자 장면은 착석과 발언권을 달라고 미리 요구했다. 의장은 “당사국인 대한민국을 대표서도 나는 할 말을 못하고 참아 왔다”고 말문을 열어 소련을 공박하였다. 소련 대표 말리크는 “규칙 발언!”이라며 그의 발언을 제지하려 들었다. 이어 말리크는 그에게 “도대체 저 자가 누군데 무슨 자격으로 저 자리에 n유엔군이 육전(陸戰)에서 전과(戰果)를 올리기까지는 공군의 지원폭격(支援爆擊)이 크게 주효하였으니 유엔 공군은 이미 개전(開戰) 20일 만에 제공권(制空權)을 장악, B29, B26 등 중폭격기는 적 후방의 교통로를 파괴선을 주 공격목표로 삼고 각 방면으로 공습작전을 전개하였다. 한편 해군도 개전 직후부터 제해권을 장악하였으나 지상작전이 후퇴를 거듭하므로 큰 활약을 못 하고 있던 중, 낙동강 전선에서 육군의 반격이 개시되자 전로서, 동원된 군함은 한국 15척, 미국 226척, 영국 12척, 캐나다 3척, 오스트레일리아 2척, 뉴질랜드 2척, 프랑스 1척, 도합 261척이었다. 13일부터 2일 간에 걸쳐 맹렬한 함포 사격을 가한 후 15일 새벽 마침내 유엔군과자 소위 민족보위상(民族保衛相)인 최용건(崔鏞健)을 서울 방위사령관으로 임명하고 약 2만의 병력으로 최후 저항을 시도했으나 20일에 유엔군 수색대는 이미 한강을 건너 서울에 침투했고, 23일에는 한국군해병대와 미 미 제7사단이 한강을 도하하여 남방으로부터 시내로 돌입, 협공으로 맹격을 가했다. 북한군은 결사적 항거로 시가전을 기도하였으나 병력의 대부분이 섬멸되어 서울에서 퇴각하니, 9월 28일 역사적인 서울 탈환이 이루어역 전투의 최종적 결판이 되었으니, 서울을 완전 탈환한 유엔군은 다시 수원 방면으로 남하하여 적의 배후를 찔렀으며, 중부와 동부전선에서도 무제한 북진공세를 취하니 30일에 벌써 국군 제30사단은 동해안을 전격적으 유엔군 총사령관 맥아더 장군은 북한 공산군 총사령관 김일성에게 항복 권고문을 보냈으나 김일성은 이를 거부하고 다만 남한지역에 있는 공산군의 전면 퇴각만을 명령했다. 따라서 같은 날 유엔군 사령부는 휘하 전장병진할 것을 명령했고, 북한군 부대들은 태백산맥(太白山脈)을 유일의 퇴로로 이용하여 후퇴했으며 나머지 일부는 지리산 · 대덕산·회문산 일대에 포위된 채 유격전을 기도하게 되었다. 10월 1일 오전 11시 45분 국군 제3사함께 원산(元山)시내와 명사십리(明沙十里) 비행장을 완전 점령했다. 중부전선에서는 국군 제7사단과 8사단이 화천(華川)·김화(金化)를 거쳐 북상, 18일에는 서부전선으로 북상한 미 제1군단과 만나 평양 남방 근교에 육력으로 방어태세를 취했으나 대패하여 청천강(淸川江) 이북으로 도주했다. 한편 서부전선에서는 10월 20일에 청천강 이남 숙천(肅川) 일대에 미 제11공정사단(空挺師團)의 약 4천명이 낙하산을 타고 내려 적의 후방을 공등지를 거쳐 서북 국경의 중앙지점인 초산(楚山)으로 진격, 26일 오후 5시 50분 6사단 제7연대 수색대가 압록강에 이르렀다. 11월 21일에는 중부로 진격한 국군 제7사단의 일부가 중부국경 혜산진(惠山鎭)에 도달했고, 동제3사단은 길주(吉州)를 거쳐 백두산(白頭山)을 향해 합수(合水)로 진격하고 11월 25일 수도사단은 함경북도 도청 소재지 청진(淸津)에 돌입했다. 이로써 국토의 전역이 거의 수복되고 통일이 목전에 다달았다.\n한편, 조프를 면담한 자리에서 김일성은 전황이 불리하기 때문에 소련의 원조를 요청하는 다음과 같은 내용의 편지를 보낼 의향임을 밝혔다.: “적군이 38선을 넘어 이북을 침공할 때에는 소련군의 출동이 절대 필요하다. 만일 그게 전문을 보내 다음 내용을 마오쩌둥이나 저우언라이에게 지급 전달하도록 지시하였다.: “중국의용군을 보낼 수 있다면 빨리 5~6개 사단이라도 38선에 진출시켜야 할 것임.” 10 월 3일, 마오는 이렇게 회답했다.: “처음단을 투입할 생각이었으나 지금은 당분간 지켜보는 것이 좋겠다고 생각된다. 북한은 유격전쟁으로 이행하면 될 것이다. 필요하다면 귀하의 휴양지에 저우언라이와 린뱌오를 보내도록 하겠다.” 이에 대한 주중 소련대사 로련 대사 스티코프를 통해, 스탈린에게 북한이 어려움에 봉착하였음을 이유로 원조와 도움을 요청하였다. 김일성은 미군이 한반도 전체를 점령하여 극동에서의 전략기지를 만들 의향인 것 같다고 밝혔다. 11월 20일, 스탈중인 북한 학생 2백명을 12월 5일까지 만주로 보내기로 결정하였다.\n북한 공산군이 거의 섬멸 상태에 이르자 중공은 아무런 통고도 없이 한국전선에 병력을 투입하기 시작했다. 중공군은 4개군 약 50만의 병력으로 고원은 청천강 이남으로 후퇴하고 12월 1일부터는 동부전선에서도 철퇴를 개시했다. 12월 4일 맥아더 장군은 ‘중공군 백만이 북한에 투입되었으며, 새로운 전쟁이 시작되었다’고 발표했다. 이날 유엔군은 평양에서 완전 철수사이에는 동부전선의 아군 12만과 피난민 10만이 흥남에 모여 해상으로 철수했다. 이 흥남부두 철수작전을 방해하려고 몰려들다가 유엔군의 공습과 포격에 섬멸된 중공군 병력은 3개 사단에 달했다. 중공군의 유일한 전략여 다시 일선에 나타나 12월 말일까지 38선에 집결한 병력은 중공군 약 17만, 북한 공산군 약 6만 총 23만으로, 이날 밤 자정을 기해 일제히 38선을 넘어섰다. 1월 3일 영국군이 의정부에서 격전 끝에 철수했고, 1월 4일 장비를 정비하여 반격할 태세를 갖추었다. 반면에 중공군과 북한군은 식량부족과 동상(凍傷)에 시달려 제10사단의 일부만이 태백산맥을 타고 경북 보현산(普賢山)까지 내려가고 다른 부대들은 진격이 부진했다. 1월 9일했으니 당시의 전선을 그려 보면 서쪽으로부터 오산(烏山)-장호원(長湖院)-제천(堤川)-영월(寧越)-삼척(三陟)을 연결하는 선이 된다. 이날 미 제2사단은 프랑스군과 네덜란드군을 포함한 병력으로 중공군에 대항하여 원주군은 오산을 탈환했고, 1월 28일 중부전선의 횡성(橫城)이 탈환되었다. 아군의 반격이 개시된 이후 2월 2일에 전사한 북한공산군 전선사령관 김책(金策)을 비롯해 10여 만의 전사자를 낸 적군은 할 수 없이 2월 7일부터 고한 참호를 구축하고 있었으므로 일일이 일진일퇴를 거듭한 끝에 겨우 진격이 가능했다. 이리하여 아군은 3월 2일에 비로소 한강을 넘어섰고, 14일에 국군 제1사단이 다시 서울에 진주할 수 있었다. 3월 24일 맥아더 장반도의 완전 통일을 주장한 맥아더 장군이 4월 11일 유엔군 총사령관직을 퇴임하고 릿지웨이 장군이 신임 사령관으로 부임했다. 이때 적은 소위 춘계대공세를 취하여 4월 23일 김화 남방의 아군 방위선을 집중적으로 돌파 5만여 명의 살상자를 내고 6일 만에 격퇴되었다. 아군은 서부전선에서 6월 3일 연천(連川)지구로 진격하고, 중부전선에서는 6월 6일에 처음으로 평강(平康)에 대치하여 철(鐵)의 삼각지대(三角紙地帶)를 이루는 철원과 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실제로는 7만여명이 참전한 것으로 밝혀졌고, 주력은 공군이었다. 참전 사실을 숨기기 위해 소련 공군기는 중공기처럼 도색을 바꾸고, 조종사들의 교신에도 러시아어 아닌 중국어를 쓰도록 강요 차례 공중전을 벌였기 때문에 미국도 소련의 참전 사실을 잘 알고 있었지만, 대외적으로는 이를 비밀에 부쳤다. 소련의 참전 사실이 알려지면 미국내에서 확전의 여론이 대두될 것을 우려한 아이젠하워 대통령의 지시에에 황제의 친위대를 포함하여 6,037명이 대한민국에 파견되어 123명이 전사하고 536명이 부상당했다. 황제는 한국에서 전쟁이 일어났다는 뉴스가 전해지자 1950년 8월부터 파병 준비에 들어갔다. 당시 소련을 중심으로 각에티오피아는 공산주의에 대항하는 전쟁에 참여하여 미국과 서유럽, 일본을 중심축으로 하는 대공산주의 진영에 참여하고 싶어 했다. 셀라시에 황제에게 출국 신고를 마친 칵뉴 부대는 마침내 다음 날 오전 9시 아디스아바 역에서 홍해의 지부티 항구를 향해 출발했다. 수많은 시민과 정부 고관들이 나와 부대원들을 환송했다. 에티오피아 참전용사들은 1951년 4월 13일 아디스아바바 궁정에서 출국 신고식을 한 뒤 한국으로 떠났다. 지부티결국 전세가 유리하지 않음을 알아차리고 6월 23일 소련의 유엔 대사 마리크(Marik)로 하여금 한국전쟁의 정전을 제의해 오고 미국은 이에 호응함으로써 7월 8일 개성에서 정전회담 예비회담이 개최되고 10월 25일 회담장치열한 선전전을 수반하면서 여전히 전투는 계속되었다.한편 국군은 후방에서 9·28수복 때 지리산 일대의 산악으로 집결한 패잔(敗殘) 공비(共匪) 소탕작전을 개시했다. 국군 수도관과 제7사단 및 전투경찰대 5개 연대는2명의 전과를 올려 일단 전면적 소탕을 끝냈다. 이외에도 1952년 여름에는 거제도(巨濟島) 포로수용소에서 수차에 걸쳐 폭동이 일어난 5월 7일에는 포로대표와 담판을 하려던 수용소 소장 돗드 준장(准將)이 포로들에게 제한공격(制限攻擊)이라는 전법을 채택하게 되었으니, 당사국인 한국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공산군과 유엔군은 함께 휴전의 성립을 희망하여 서로 관망하는 태도를 취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 전투는 다만 진격을쟁탈전은 치열하였으니, 한 능선(稜線)·한 고지에서 퇴각과 탈환을 20여 회 이상 거듭하는 게 보통이었다. 1952년 8월부터 공산군은 후방의 병력과 장비를 보강하여 8월 5일 국군 수도사단이 지키는 김화 등 북방의 수도인이 갈리었다. 이러한 싸움을 9월 28일까지 계속하여 아군은 고지를 확보하니 29일에는 개전 이래 최대의 포격으로 4만 8천 발을 수도사단 지구에 퍼붓고 다시 방향을 돌려 백마고지(白馬高地)에 공격해 왔다. 백마고지대 안의 교통로를 제압하는 전략상의 주요 고지다. 이 지대는 국군 제3사단·9사단 및 미 제2사단 등이 방어하고 있었는데, 10월 29일까지 1개월 사이에 25회 이상 고지의 주인이 바뀐 끝에 아군은 한걸음 진격하여 철마(렬한 적의 공격을 받았는데, 이 능선은 철의 삼각지대 동측 요충으로 적의 주요 진지인 오성산(伍聖山)에 대치하는 지점이다. 이 지대는 국군 제2사단이 당하고 있었는데 4일 간 전투에 17회나 능선의 주인이 바뀌었으나으로 소극적인 공격을 해 왔다. 그러나 이 해 3월 5일 스탈린이 사망한 후 4월 6일, 5개월 만에 휴전회담이 재개되고 11일에는 상이포로 교환협정이 조인되니 벌써 휴전 경계선의 결정을 토의하게 되었다. 휴전협정이 결 중동부 전선에 약 4만 5천의 병력을 투입하고 12시간 동안에 11만 8천 발의 포격을 가해 약 3km 후퇴했으며, 동부전선 단장(斷腸)능선, 서부전선 연천(蓮川)지방도 심한 공격을 받았다. 7월 16일부터 아군은 총공격을 개3년 7월 27일 오전 10시, 정전협정이 정식 조인됨으로써, 3년 1개월에 걸쳐 참담했던 한국전쟁은 종전이 아닌 휴전협정만이 조인되었고, 한반도에는 \'제2의 38선\'인 휴전선이 설정되어 민족분단의 비운을 또다시 맞이하성과를 올리지 못하고 중화인민공화국의 개입으로 전선이 고착화하자, 중화인민공화국을 부담스러워한 미국은 현상유지 차원에서 휴전협정을 추진하였다. 소련이 부분적으로 참전하자, 세계 여러나라들은 한국 전쟁이 머고, 휴전을 하기로 했었다. 미국은 소비에트 연방 및 중화인민공화국 측과 휴전을 논의한다. 1952년 3월 이승만은 분단 상태에서의 휴전은 한국에 대한 “사형선고”나 다름없다고 주장하며, “민족국가로 생존하기 위해 단라고 강조했다.\n주로 개성과 금강산에 이르는 곳에서 전투가 계속되다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소련을 통해 휴전을 제의하였고, 유엔군 측의 승인으로 휴전이 성립되었다. 1953년 7월 27일에 판문점에서 휴전협정이올라와서, 휴전협정 4조 60항은 협정 체결 후 3개월 안에 한반도 문제의 평화적 해결을 위한 고위급 관계국 정치회의를 개최할 것을 쌍방 정부에 건의했다. 그 직후인 1953년 8월 28일 제7차 유엔 총회는 유엔 총회 결의한민국을 비롯한 세계 대부분이 북한이 한반도 전체를 공산화하기 위한 차원에서 38도선 전역에 걸쳐서 대한민국에 대한 무력 침공을 감행하였다는 남침(남으로 침략함)설을 정설로 보는 가운데, 3년 1개월에 걸친 한국 1차 세계대전에 맞먹는다고도 하고 그렇지 않다고도 한다. 한국전쟁은 그밖에도 약 20만 명의 전쟁 미망인과 10여만 명이 넘는 전쟁 고아를 만들었으며 1천여만 명이 넘는 이산가족을 만들었다. 그리고, 45%에 이르는 공세계 대전에 가까운 전쟁이었다.\n', 'title': '한국_전쟁'}
- 위 검색결과들만을 놓고 평가해본다.
- 기존 검색 : 한국만화라는 검색어에 대해서 결과들이 모두 만화와는 관련이 있긴한데, 한국과는 관련이 없다. 그나마 3번째 웹툰항목이 한국과 관련이 있는것같긴하다.
- 벡터 유사도 검색 : 결과가 참담함. 한류는 이해하겠는데, 김정은과 한국전쟁이 결과로 나오는것은 전혀 관련이 없는것같다.
- 검색어가 너무 키워드라서, 우리가 원하는 일종의 시맨틱 검색스러운 검색어로 변경하여 테스트하였다.
- 검색어 "사람들이 좋아하는 동물"
// 기존 검색 결과
{
"took" : 4,
"timed_out" : false,
"_shards" : {
"total" : 2,
"successful" : 2,
"skipped" : 0,
"failed" : 0
},
"hits" : {
"total" : {
"value" : 186,
"relation" : "eq"
},
"max_score" : 6.903301,
"hits" : [
{
"_index" : "korquad",
"_type" : "_doc",
"_id" : "4Ggyt3YBIP3557OA-vq7",
"_score" : 6.903301,
"_source" : {
"paragraph" : """세계화는 대항해 시대를 심화하였다. 하지만, 무역루트와 질병은 오랫동안 아시아와 유럽 사이에서만 함께 이뤄어졌다. 여행의 증가는 질병이 없던 원주민에게 질병을 퍼뜨리는 역할을 했다. 원주민 사람들은 세대 그 이전에 새로운 질병에 관한 면역체계가 없었기 때문에 새로운 질병에 쉽게 노출되고 걸릴 수 밖에 없었다. 인간관계학인 현대과학은 질병의 감염과 질병의 전염, 전파의 5가지 주요 원인인 공기전염, 물전염, 피에 의한 전염, 직접적인 전염 그리고 다른 생물체에 의한 전염(곤충 또는 다른 생물체가 종자체에서 다른 종에게 병을 전염시키면서 나타남)과 상대한다. 인간이 국가와 바다를 넘어서 여행을 시작했을 때, 보고서들은 앞서 말한 5가지 원인에 의해 질병이 퍼졌다고 보고한다.
이 무역된 상품들에 의하면, 많은 국가들은 노예를 거래하기 시작했다. 노예를 거래하는 것은 질병이 새로운 장소와 사람에게 노출될 수 있는 또다른 길이었다. 예를 들면, 사하라 사막 이남의 아프리카에서 캐리비안과 아메리카까지 가는 경우 이다. 그 당시에 다른 사회들은 통합을 하기 시작했고, 인간과 동물을 특정한 장소에 집중시키는 일을 증가시켰다. 이는 새로운 질병이 동물과 인간이 돌연변이와 같은 구조상으로 변화하는 계기를 마련한 것이다. 이 기간에 마법사 그리고 주술사의 질병 치료법은 마술과 종교에 의해 이루어지기도 했다. 그리고 질병에 의한 몇몇 증상에 관심을 갖기 보다는 그들의 몸과 정신을 치료(힐링)하는데 집중했다. 초기 약은 허브의 중재역할을 하는 것들이 사용되기도 했다. 고고학적인 증언을 기초로 유럽과 남아메리카에서 몇몇 선사시대의 의사는 아픔을 완하시키기 위해 두개골에 구멍을 뚫는 관상톱을 사용했다. 심한 질병은 마법이나 초자연적인 현상으로 여기기도 했다. 아메리카에서의 유라시안의 질병의 소개로 인한 결과는 처참했다. 많은 원주민들이 식민지 지배자들이 사용한 총과 다른 무기들에 의해서 보다 더 많이 질병들에 의해 죽었다. 학자들은 이 4세기 동안에 기존의 아메리카의 인구를 90%나 제거했다고 설명한다.
대항해기간 동안의 유럽에서는 홍역, 천연두, 결핵이 아시아와 아프리카와의 무역이 성사되기 이전부터 있었다고 주장한다. 사람들은 유라시안 대륙으로 부터 이같은 질병과 다른 질병의 항체를 만들었다. 유럽인들이 새로운 내륙을 여행할때, 그들은 이미 그 질병들을 함께 데리고 여행했다.(메모: 학자들은 결핵이 아메리카에서는 이미 풍토적으로 자리잡고 있었다고 본다) 처음 이같은 질병이 새로운 인구에게 소개되었을때, 원주민들에게 그 영향은 엄청 컸고, 죽음으로 다가오기도 했다. 콜롬버스 교환이라고 부르는 크리스토퍼 콜롬버스에 의한 캐리비안의 원주민과의 첫번째 접촉에서는 동물, 식물 무역을 했고, 부지불식간에 질병도 교환하고 있었다.
이는 사람들이 1800년대에 들어서기까지 질병에 대한 인식이 완전히 있지는 않았다. 많은 생각과 세균에 의한 아이디어가 나왔지만, 파스퇴르가 세균에 관한 그의 이론을 펼치기 전까지 사람들은 세균에 대해 인식하지 못하고 있었다. 하지만, 1881년 5월 22일 파스퇴르는 그의 첫 성공적인 백신과 함께 세균 이론에 대해 설명하고 설득했다. 탄저병은 백신은 양 25마리를 통제대상으로 하고, 또다른 양 25마리를 실험대상으로 실험되었다. 1881년 5월 31일 모든 양들은 탄저병에 걸렸다. 그리고 모든 통제되었던 양들은 죽었고, 백신을 맞은 다른 실험집단의 양들은 살아남았다. 파스퇴르의 실험은 질병 예방에서의 중요한 단계가 되었다. 그의 발견으로 다른 백신과의 결합이 이루어졌고, 세계화가 세계에 영향을 준 그 방향을 바꾸었다.
약이 만들어지면서 많은 백신과 치료는 사람들이 가장 많이 시달린 질병(흑사병, 매독, 발진티푸스, 클로레라, 말라리아)을 위해 사용되었다. 그러나, 질병의 유기체의 혁명이 빨르기 때문에, 백신으로도 많은 질병에 의한 완전한 면역체계를 갖추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백신 없이는 세계는 전염성이 짙은 질병에 취약했을 것이다. 이처럼 질병의 혁명은 현시대에서 가장 위협이 되는 존재이다. 예를 들면, 가장 최신인 "돼지 인플루엔자" 또는 H1N1은 원래의 감기에서 진화된 새로운 변종이다. 본토에서 기초로 한 몇세기에 걸친 아시안 플루로 알려졌다. 1918년에서 1920년까지, 세계1차대전은 유행병으로 50-100만명의 사람들을 죽였고, 미국같은 경우는 50만명만 남겨두기도 했다. H1N1은 조류, 돼지류와 사람 플루 부분으로 부분적으로 나뉘어져 진화하였다.
흑사병은 페스트균(Yersinia pestis)에 의해 발생하는 급성 열성 전염병이다. 페스트균은 현재 주로 아시아, 아프리카, 아메리카 대륙에 부분적으로 분포해 있다. 페스트균은 숙주 동물인 쥐에 기생하는 벼룩에 의해 사람에게 전파된다. 흑사병의 주요 형태는 가래톳 흑사병(bubonic plague), 패혈증형 흑사병(septicemic plague), 폐렴형 흑사병(pneumonic plague) 등이다. 중세에 유럽에서 크게 유행하여 희생자가 많았다. 국내에서는 근래에 발병이 보고된 바가 없다. 발병위치는 전신이다. 유럽에서는 1347년 처음 창궐한 이래 많은 희생자가 발생하여 공포의 대상이었다. 1340년대 흑사병으로 약 2천5백만 명이 희생되었다. 이 때의 흑사병은 중앙아시아나 인도에서 발원하여 전파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는 당시 유럽의 인구의 약 30%에 달하는 숫자이다. 최초의 흑사병 확산이후 1700년대까지 100여 차례의 흑사병 발생이 전 유럽을 휩쓸었다.
14세기 중세 유럽에 퍼져나간 흑사병은 "대흑사병"이라 불린다. 14세기 유럽의 흑사병은 사회 구조를 붕괴시킬 정도로 유럽 사회에 큰 영향을 주었다. 당시 유럽에서는 흑사병이 왜 생기는지는 몰랐기 때문에, 거지, 유대인, 한센병 환자, 외국인 등이 흑사병을 몰고 다니는 자들로 몰려서 집단폭력을 당하거나, 심지어는 학살을 당하기도 하였다. 물론 사회학적으로 비평했을 때 흑사병 기간동안 일어난 학살들은 마녀사냥처럼 흑사병으로 인한 사회적 혼란을 사회적 소수자들에게 전가한 희생양적인 폭력이었다. 한편, 흑사병의 창궐은 삶에 대한 태도도 바꾸어 "지금 이 순간을 즐기자"는 신조를 낳았고, 이는 보카치오의 《데카메론》 등에 반영되었다. 흑사병은 유럽인들의 종교적인 사고에도 영향을 주어, 일부 사람들은 하느님이 흑사병으로 심판하니 고행을 함으로써 죄를 씻어야 한다는 주장을 하고 다니기도 했다.
흑사병이라는 이름은 1883년에 붙여졌는데, 피부의 혈소 침전에 의해 피부가 검게 변하는 증상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증상이 더욱 진행되면 검게 변색된 부위에 괴저가 발생하고, 죽음에 이르게 된다. 흑사병은 임상병리학에서 서혜 임파선종 중 가장 위험한 종류로 다루어진다. 흑사병은 박테리아의 일종인 예르시니아 페스티스가 원인균으로 이에 감염된 쥐의 혈액을 먹은 벼룩이 사람의 피를 빨면서 병을 옮기게 된다. 19세기까지 흑사병은 쥐에 의해 전파되는 것으로 알려졌으나 20세기에 들어서서는 반드시 그렇지는 않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흑사병이 쥐와 사람이 함께 걸리는 전염병이기는 하나, 장거리 여행을 하는 것은 쥐가 아닌 사람이라는 주장이다.
발진티푸스는 발진티푸스 리케치아(Rickettsia prowazekii)에 감염되어 발생하는 급성 열성 질환으로, 한랭지역의 이(louse)가 많이 서식하는 비위생적인 환경에서 거주하는 사람들 사이에서 발생하며, 역사적으로는 전쟁이나 기근 등이 생길 때 유행하였다. 멕시코의 산악지대나 중앙 아메리카, 남 아메리카, 중앙 아프리카, 아시아 지역의 여러 나라에서 풍토병으로 존재한다. 발진티푸스 리케치아의 병원소(병원체가 증식하면서 생존하여 다른 숙주에 전파될 수 있는 상태로 저장되는 장소)는 사람이지만, 감염원은 리케치아균을 가지고 있는 환자의 피를 빨아 먹은 이(louse)이다. 균에 감염된 이의 배설물에 리케치아균이 섞여 나오며, 이는 흡혈 후 약 3∼8일 후에 죽는다. 사람은 이에 물려서 생긴 상처나 피부의 표재성 찰과상을 통해 이의 배설물에 들어있던 리케치아균이 몸 속으로 들어와서 감염된다. 균에 감염된 이의 배설물이 섞인 먼지를 흡입하여 감염되기도 한다. 인간에서 인간으로 직접 감염 되지는 않는다. 발병위치는 전신이다.
매독은 스피로헤타(spirochete)과에 속하는 세균인 트레포네마 팔리듐균(Treponema pallidum)에 의해 발생하는 성병이다. 매독균은 성관계에 의해 주로 전파되지만 모체에서 태아에게로 전파되는 경우도 있다. 병의 전파는 성관계를 통해 이루어지지만 전반적인 신체 장기에 염증성 질환을 일으킬 수 있다. 매독(梅毒)은 매독균(spirocheta)에 의한 전염병이며 성병이다. 그 시기를 분류하자면 1기 매독, 2기 매독, 3기 매독으로 나눈다. 성병 중에서 매우 나쁜 성병으로 어머니가 걸렸을 경우에는 아이가 기형이 될 수 있다. 난치이며, 한번 걸리면 거의 평생 동안 혈액 검사에서 완치후에도 계속 양성 반응이 나온다. 신경성 매독은 뇌의 손상을 가져오기도 한다. 현재 대한민국에서는 드물고 항생제로 치료한다.
천연두는 종두가 실시된 후, 1977년 소말리아의 마지막 환자를 끝으로 WHO가 공식적으로 박멸한 것으로 선언한 바이러스 전염병이다. 옛날 조선에서는 ‘마마’, ‘두창’이라고 불리었으며, 1879년에 지석영이 이를 퇴치하기 위해 종두를 처음으로 주사하였다. ‘백신’의 보급으로 완전히 박멸된 첫 번째 전염병이다. 두창은 발열, 수포, 농포성의 병적인 피부 변화를 특징으로 하는 급성 질환으로, 두창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한다. 사망률이 매우 높은 감염질환으로, 한 때 우리나라를 포함하여 전세계 전체 사망 원인의 10%를 차지하기도 하였다. 1979년에 전 세계적으로 두창은 사라진 질병으로 선언되었고, 현재까지 자연적인 질병의 발생은 보고된 바가 없다. 1980년 이후로 대한민국의 모든 의과대학에서도 배우지 않는다. 두창은 천연두 혹은 우두에 걸리면 예방이 되나, 우두 백신을 맞아 예방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는 그 백신을 쓰지않는다.그러나 두창 바이러스가 생물 테러무기로 이용될 가능성이 알려지면서 최근 다시 관심이 모이고 있는 질환이다. 현재 천연두 바이러스를 연구하기 위해 남긴 실험용 샘플을 완전 폐기할 것인가 말 것인가를 두고 논란 중이다. 연구를 위해 샘플을 남겨두자는 측과 혹시라도 다시 밖으로 유출되어 문제를 일으킬 수도 있다는 주장이 맞서고 있다. 일부 국가에서는 천연두 바이러스를 생화학 무기에 이용하기 위해 연구중이라는 소문도 있었다. 흔히 말하는 곰보 자국을 남기는 질병이며, 치사율이 95%로 매우 높았다.
""",
"title" : "세계화와_질병"
}
},
{
"_index" : "korquad",
"_type" : "_doc",
"_id" : "j2g1t3YBIP3557OAe_wi",
"_score" : 6.700715,
"_source" : {
"paragraph" : """크누트는 베를린 동물원의 스무 살 된 어미 토스카에게서 태어났다. 토스카는 캐나다 태생으로 동독에서 서커스 공연을 하였던 곰이었으며 뮌헨 티어파르크 헬라브룬 출신의 13세의 수컷곰 라르스와 짝짓기를 하여 2006년 12월 5일 두 마리의 새끼를 낳았다. 그러나, 토스카는 어떤 이유에서인지 두 새끼를 우리 안 바위 위에 놓아두고 방치하였다. 사육사들은 그물을 이용해 새끼들을 구출하였지만 한 마리는 4일 뒤 죽었다. 살아남은 새끼곰 크누트는 당시 기니피그 정도의 크기였으며 태어났을 당시 체중은 810g으로 44일간 인큐베이터 신세를 져야 했다. 인큐베이터를 나온 크누트를 담당한 사육사는 토마스 되르플라인(Thomas Dörflein)이었다.
2007년 3월 초, 독일의 보수 성향 타블로이드 신문 《빌트 차이퉁》은 동물 권익 운동가 프랑크 알브레히트가 주도한 설문조사를 게재하였는데 그는 '크누트를 인간이 길러서는 안되며 안락사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동물원이 동물보호법을 어기고 크누트를 살려두고 있다는 주장이었다. 아헨 동물원 책임자 볼프람 그라프 루돌프(Wolfram Graf-Rudolf)는 알브레히트의 의견에 동조하며, '어미가 버린 새끼는 죽도록 두는 것이 옳고, 베를린 동물원측도 강단 있는 결정을 내려야 한다고 하였다. 그러나 일군의 어린이들은 동물원 앞에서 '크누트를 살려야 한다'고 항의하였고, 크누트를 죽여서는 안 된다는 서신과 이메일이 쇄도하였다. 심지어 알브레히트에게는 협박 편지까지 수차례 받았다고 한다. 베를린 동물원은 많은 사람들의 안락사 반대 의견과 성원에 힘입어 크누트를 계속 보호하기로 하였다.
크누트는 2007년 3월 23일 대중에 처음으로 공개되었다. 이를 보도하기 위해 '크누트의 날' 행사에 모여든 언론 기자들은 400명에 달하였다. 크누트가 워낙 어린 시절부터 세계 미디어의 주목을 받은 덕분에 곰의 건강 상태를 두고 한해 동안 수많은 억측이 난무하였는데, 예를 들어 2007년 4월 16일에 치과 진료를 받기 위해 크누트가 자리를 비운 동안 크누트가 원인을 알 수 없는 병으로 항생제 치료를 받고 있다는 보도가 나오기도 하였다. 심지어는 크누트를 죽이겠다는 협박도 있어서 팩스로 들어온 살해협박문을 접수한 경찰은 크누트 우리의 보안을 강화하기도 하였다. 다행히 협박자가 예고한 시간 동안 아무일도 일어나지 않았다.
2007년 4월 30일, 독일의 진보성향 언론 잡지 《슈피겔》은 "크누트가 커가면서 자연스레 귀여움을 잃고 있다"고 보도하였지만, 크누트는 그 해 여름에도 수많은 방문자들을 맞이했다. 2007년 7월, 생후 7개월이 된 크누트는 무게가 50kg이 되었다. 하루 두 번씩 크누트를 공개하던 동물원측의 원 계획은 사육사의 크누트 관리를 목적으로 취소되었다. 동물원 대변인 레기네 담(Regine Damm)은 크누트가 사람이 아닌 동족 곰들과 관계를 형성할 때가 되었다고 발표하였다. 크누트보다 한 달 먼저 태어난 아시아흑곰인 에른스트 모자와 한동안 함께 우리에서 생활했으나 크누트는 얼마 지나지 않아 스스로의 우리를 배정 받게 된다. 동물원 방문자 수는 3월에서 4월 가는 동안 평년 수준으로 줄어들었지만 2007년 한해 동안 크누트는 여전히 많은 관심을 받았다. 특히 2007년 8월에는 방문자 수가 400,000명에 달하면서 베를린 동물원 사상 최고 기록을 세웠다.
크누트는 대중에 공개된 지 1년이 후 130kg이 되었다. 크누트와 관객 사이에는 박격포 폭발에도 끄떡 없는 두께 6인치짜리 유리판이 설치되었다. 크누트가 많이 성장하게 되자 2008년 3월 말 크누트의 사육사 중 한 명이었던 마르쿠스 뢰브케는 "크누트의 자립 생활, 독립을 위해 가급적 빨리 크누트를 야생으로 돌려보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뢰브케는 또한 크누트가 전임 사육사였던 토마스 되르플라인을 그리워하고 있으며 주변에 아무도 없으면 울음소리를 내 주목을 받고 싶어한다고 전했다. 그는 누군가 자신을 보아주기를 바라는 크누트의 성향을 바꾸는 게 좋겠다고 조언한 바 있다. 한편, 4월 초 동물보호단체는 크누트가 우리 안에서 열 마리의 잉어를 죽여 잡아먹었으며 이는 독일 동물 보호법 위반이라고 비난하였다. 베를린 동물원의 곰 전문가 하이너 클뢰스는 이에 대하여 북극곰의 습성일 뿐이라고 일축했고 비난에 대해 반박하였다.
2009년 9월, 뮌헨의 헬라브룬 동물공원에 있던 크누트와 비슷한 나이의 북극곰 암컷 '조반나'가 베를린 동물원으로 이전되었다. 조반나는 9월 23일 대중에 공개되었고 헬라브룬 동물공원이 수리를 마칠때까지 크누트의 우리를 잠시 공유하였다. 조반나의 도착은 국제적 관심을 촉발하였다. 당시 크누트와 조반나 모두 성년이 아니었음에도 매체들은 두 곰이 짝짓기를 할 것인가의 여부가 세간의 관심을 끌기에 충분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2010년 3월, 동물을 윤리적으로 다루는 사람들의 모임 독일 지부는 크누트와 조반나의 할아버지가 같으니 "크누트의 근친교배를 막기 위해서는 크누트를 거세하여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또한 PETA 대변인 프랑크 알브레히트는 "크누트와 조반나 사이에 새끼가 태어난다면 이는 독일 북극곰 유전형질을 위협할 것"이라는 우려를 표했다. 베를린 동물원은 이에 대하여 어떠한 성명이나 발표도 내지 않았고 조반나의 베를린 동물원 체류가 일시적인 것에 불과하다고만 밝혔다. 후에 2010년 8월 조반나는 수리가 끝난 본래 동물원으로 돌아가면서 사태는 진정되기에 이른다.
네 살이던 2011년 3월 19일 크누트는 우리 안에서 쓰러져 숨을 거두었다. 목격자들은 크누트가 왼쪽 뒷다리를 떨며 동요된 상태로 경련하다가 연못에 떨어졌다고 하였다. 당시 약 600~700명 가량의 관객들이 크누트의 죽음을 목격하였다. 3월 22일 성명에서 크누트의 뇌에 이상이 생겨 죽음에 이르게 되었을 수 있다는 내용이 발표되었다. 독일내 동물 보호 단체들은 크누트의 죽음을 베를린 동물원 탓으로 돌리며 동물원이 암곰들과 크누트를 합사해 스트레스를 유발하였다고 주장하였다. 베를린 동물원 측은 이를 부정하였고, 곰 전문가 하이너 클뢰스(Heiner Klös)는 "동물원 측이 크누트를 위해 할 수 있는 최선을 다하였으며, 동물원에서 북극곰을 합사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로, 크누트의 사회성 및 기술 교육을 위해서도 나이 많은 곰과 합사하는 것은 불가피한 일"이라 밝혔다.
동물원 외에도 여러 업체들은 전화벨이나 곰인형 등 크누트 관련 테마 상품들을 기획하여 수익을 올렸다. 플러시 천으로 완구를 만드는 회사인 스타이프(Steiff)는 크누트 기획 상품으로 3가지 크기-앉은 모습, 선 모습, 누운 모습- 크누트 완구들을 제작하였는데, 첫 2400개 제품들은 베를린 동물원에 독점공급하여 4일만에 완판하였다. 스타이프는 이 수익 일부를 베를린 동물원 북극곰 축사 개량비용으로 제공한 바 있다. 사탕을 만드는 회사인 하리보 사는 2007년 4월 '쿠디 키누트'라는 산딸기맛 구미 젤리 제품을 출시하여 판매가 10%를 동물원에 기부하겠다고 공언하였다. 이 제품 또한 소비자의 좋은 반응을 얻어 수익을 토대로 하리보 사는 두 번째 공장을 신축할 수 있게 되었다.
독일에서는 크누트를 주제로 한 여러 노래들도 등장하였다. 이중 가장 인기를 끈 것은 쾨페닉(Köpenick) 출신의 9살 어린이가 부른 〈크누트는 귀여워〉(Knut is Cute)와 〈크누트, 작은 북극곰〉(Knut, der kleine Eisbär)이었다. 영국에서는 뮤지컬 희극인 미치 벤(Mitch Benn)이 BBC 라디오 4 방송에서 풍자적으로 다루는 The Now Show이란 프로그램에서 크누트를 위한 노래 4곡을 불렀는데, 〈아기곰은 죽어야해〉(The Baby Bear Must DIE!), 〈크누트는 더이상 귀엽지 않아〉(Knut Isn't Cute Anymore), 〈잘가 크누트〉(Goodbye Knut) 그리고 〈베를린의 팬더〉(Panda in Berlin) 였다. 이외에도 독일의 RBB(Rundfunk Berlin-Brandenburg) 방송국에서 제공하는 크누트의 근황을 알리는 블로그가 독일어, 영어, 스페인어로 제공되었으며, 독일 내에서 매주 방송되는 크누트 관련 텔레비전 프로그램도 있었다. 크누트는 《크누트-북극곰 유아실 이야기》 등의 여러 DVD에 등장하였고, 2007년 3월 29일 독일판 《배니티 페어》 잡지의 표지에 나왔다.
2007년 5월 1일, 미국 뉴욕에 본사를 둔 터틀 폰드 출판사(Turtle Pond Publications)는 베를린 동물원과 계약을 맺고 전 세계에 지구 온난화에 대한 경각심을 촉구하는 출판물에 크누트를 사용하는 권리를 얻었다. 크레이히 하트코프(Craig Hatkoff)는 두 딸 율리아나 및 이사벨라와 함께 《작은 북극곰 크누트》(Knut, der kleine Eisbärenjunge)라는 44페이지 분량의 책을 냈으며 크누트의 생애 및 미공개 화보를 수록하고 있다. 크누트에 대한 책은 이미 독일 내에서 많이 출판되었지만, 베를린 동물원의 허가를 받은 실례는 이 책이 처음이었다. 독일 라벤스부르거에서 2007년 7월 출판된 후 미국 출판사 스콜라스틱에서 영어판을 11월에 출판하였다. 저작권은 이후 일본, 영국, 멕시코, 중화인민공화국 그리고 이탈리아에도 팔렸으며, 대한민국에서는 2009년 4월에 출판되었다.
""",
"title" : "크누트_(북극곰)"
}
},
{
"_index" : "korquad",
"_type" : "_doc",
"_id" : "bGgyt3YBIP3557OAbPp7",
"_score" : 6.355955,
"_source" : {
"paragraph" : """붉은불개미는 지역 개미들을 상대로 경쟁하여 승리한다. 북미에서는 굉장히 적극적으로 이들을 없애려고 하지만 계속해서 그 범위를 넓혀가고 있다. 이들이 해충이라고 규정된 이유는 침입종이고, 우리에게 입히는 신체적 고통뿐만이 아니라 그들의 둥지가 식물의 뿌리를 약하게 만들고 기계로 농사를 지을 때 이들의 둥지가 방해되기 때문이다. 이들의 둥지가 갑자기 나타나는 것은 그다지 놀라운 일이 아니다. 이들은, 큰 동물은 보통 죽이지 않지만 작은 동물, 예를 들어 새 등은 이들에 의해 쉽게 죽는다. 송아지 등도 충분히 민첩하지 못하면 죽게 된다. 이들의 침에는 솔레놉신이 포함되어 있으며, 인간에게 고통스럽고 쏘인 뒤 하루 정도 지나면 찔린 부위가 하얗게 뜬다.
""",
"title" : "붉은불개미"
}
}
]
}
}
// 벡터 유사도 결과
1420 total hits.
embedding time: 8.92 ms
search time: 11.39 ms
id: Jmgzt3YBIP3557OAk_vg, score: 1.2232393
{'paragraph': '구제역(口蹄疫, 영어: foot-and-mouth disease, hoof-and-mouth disease, 학명: Aphtae epizoot) 또는 입발굽병 은 소와 돼지 등 가축에 대한 전염성이 높은 급성 바이러스성 전염병의 하나이다. 사슴이나라진 가축들에게 감염된다. 라마, 알파카도 가벼운 증상을 보일 수 있으나 저항력을 가지고 있고 같은 종의 다른 동물에 전염시키지 않는다. 실험실 실험에서 쥐, 닭에 인공적으로 감염시키는데 성공하였다 하나 자연상태파시킨다. 1952년 캐나다에서는 개들이 죽은 동물들의 뼈를 옮긴 후에 확산에 다시 불길이 붙었고, 옛 소련에서는 늑대가 비슷한 역할을 했던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사람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는 매우 드물며, 일반적으러스라는 것을 발견하였다. 그는 감염된 동물의 혈액을 포셀린 필터에 통과시켜 걸러도 여전히 다른 동물을 감염시킬 수 있음을 확인했다. 구제역은 세계 대부분의 지역에서 발생하며, 숙주가 되는 동물의 종류와 개체수가 많고 전염성이 높기 때문에, 한동안 구제역이 발생하지 않던 곳에서도 발생할 수 있다.\n', 'title': '구제역'}
id: PGg3t3YBIP3557OACv3V, score: 1.2111697
{'paragraph': '회색늑대는 세계에서 가장 잘 연구된 동물 중 하나이며, 다른 야생 동물 종들보다 더 많은 연구 서적이 있다. 늑대는 인간과의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보통 농업 사회에서 가축을 공격하는 경멸받는시작되었다. 인간 사회에서는 늑대가 중세 늑대의 인간 공격으로 발생한 광견병에 기인하여 두려움의 상징으로 퍼져 있었다. 광견병에 걸리지 않은 늑대가 주로 어린이들을 공격한 적도 있으나, 이는 특이한 경우이고 상감소하였으나, 여전히 광범위한 범위의 서식지와 안정적인 개체 수로 인해 세계적으로 종 감소 위협은 아니라고 인식되어 국제 자연 보호 연맹은 "관심 필요"의 낮은 등급을 부여했다.\n영어의 "wolf"라는 단어는 고대 영os"/"*lukwos"라는 단어에서 파생된 것으로 추측된다. 고대 영문학에서는 앵글로색슨 왕과 그 전사 이름의 접두사와 접미사에 "wulf"라는 명칭을 붙였다. 그 예로, Wulfhere, Cynewulf, Ceonwulf, Wulfheard, Eanwulf, W으로 기독교화 이전 게르만족의 전사들 이름에 Wolfhroc (Wolf-Frock), Wolfhetan (Wolf Hide), Isangrim (Grey Mask), Scrutolf (Garb Wolf), Wolfgang (Wolf Gait) and Wolfdregil (Wolf Runner) 등으로 늑대와 관련된가능성이 높은 선조 후보는 북아메리카에서 마이오세 시기 서식한 토끼잡이늑대(Canis lepophagus)로 작고 좁은 두개골을 가졌으며 이 모습은 코요테와의 유전적 관계도 설명이 가능했다. 크고 뚱뚱한 보로파구스아과(Bo견되었으며 현대의 늑대와 비슷한 모양이었다. 북아메리카에서의 첫 번째 현대 늑대의 발견은 블랜캔(Blancan) 후기와 이르빙토닌(Irvingtonian) 초기이다. 이 토끼잡이늑대 종 중에는 현대의 아메리카붉은늑대와 비슷한 점차 모스바체시스(C. mosbachensis) 종으로 대체되고 아라비아 반도와 서아시아에서는 현대 늑대와 밀접한 닮은 화석이 발견되며, 유럽에서는 늑대가 50만 년 전 빙하기 시기에 퍼졌다(늑대#아종 참조). 모르바체시스는 혈통은 가장 오래된 북아프리카, 서아프리카, 동아프리카가 서식지인 아프리카늑대로 플라이스토세 중기에서 말기에 처음 나타난 것으로 추측된다. 인도 아대륙에 나타난 또 다른 늑대의 혈통은 카슈미르, 히마찰프라데기 시작한 것으로 추측된다. 인도 반도에 서식하는 인도늑대(C. l. pallipes)는 약 40만 년 전 히말라야 늑대에서 갈라져 나왔다. 티벳늑대는 15만 년 전 카슈미르 북서부에서 갈라져 나온 것으로 추측된다. 가장 마지막 유럽과 북미로 확장하여 유전자 표지자 그림과 같이 유럽 늑대, 북미 늑대, 개와 비슷한 혈통에 속해 있다.\n지금은 멸종한 일본늑대는 한반도와 일본에 서식한 늑대로 이는 플라이스토세에 2만 년 전 아시아 본토에서 열도에서 서식한 가장 뚱뚱한 유제류의 멸종으로 이어지는 기후 변화가 찾아온다. 일본 늑대는 7천 년에서 13,000 년 전 기후학적, 생태학적인 이유로 섬의 왜소 발육화가 찾아온 것으로 추측된다. 홋카이도늑대(C. l. 수 있는 것뿐 아니라 시베리아 늑대에서 분산된 유전자의 상호 작용으로도 볼 수 있다.\n현대 늑대는 란촐라브린(Rancholabrean) 시기 북미로 확장된 것으로 추측된다. 큰 크기의 다이어늑대(Canis dirus)가 이미 북아메해 종 개체 수가 감소하였으나 살아남을 수 있었다. 다이어늑대의 멸종과 함께, 회색늑대는 유일한 대규모 확산적 갯과 종이었다. 북미의 재식민지화의 모습이 여러 곳에서 나오며, 가장 특이한 종들이 주변에서 나오기 . l. baileyi)는 멕시코 등지의 남쪽에 서식)은 유라시아에서의 이전 종들의 모습을 볼 수 있었다. 동부늑대와 멕시코늑대는 일부 원시적인 특성과 체계적인 친화성을 가지고 있었다. 캘리포니아 남부 해안의 화석에서 북재하고 있었고, 북미의 대형 회색늑대의 아종이 남아 있으며 현재 늑대는 더는 그곳에 거주하진 않지만 오래전에는 빙하 주기에 의해 남쪽으로 이주한 것으로 추측된다. 멕시코늑대와 비슷한 작은 늑대가 캔자스와 남부 로 보인다.\n개는 늑대의 가장 가까운 친척 관계(회색늑대와 개 사이의 유전적 분산은 1.8%이며 회색늑대와 에티오피아늑대, 코요테 사이는 4%이다)이며, 개와 늑대의 행동 및 해부학적 구조 연구에서 개의 생리 및 유전대와 비슷하다. 늑대의 청각융기는 볼록하며 원형이지만, 개의 청각융기는 작고 압축되었으며 약간 뒤틀렸다. 같은 개와 늑대의 크기를 비교할 시, 늑대는 20% 더 큰 두개골과 10% 더 큰 뇌 크기를 가졌다. 이 이해 부위다. 개는 전미골부샘(pre-caudal gland) 기능이 부족하고, 개가 대부분 1년에 두 번 발정하는 데 비해 늑대는 1번 발정한다.\n개와 늑대는 유전적으로 가까우며, 수천 년 동안 많은 부분을 같이 생활해왔으나 보통 두 종이루는 경우가 있다. 그들은 이후 세대에서 풍부한 자손을 만들 수 있었다. 만년에서 15,000년 전 북아메리카에서 늑대와 개의 혼혈로 흑색늑대가 이루어졌다는 것이 밝혀졌다. 유럽의 늑대-개 혼혈화는 늑대의 혈통의 위구가 나왔다. 또한, 늑대와 개의 발정기는 완전히 일치하지 않고 야생 늑대와 개의 혼혈 자손은 나올 가능성이 매우 적다는 것이 증명되었다. 순수 늑대처럼 혼혈종도 매년 번식하고 그 종의 짝짓기 계절은 석 달 전에 일것이 밝혀졌다. 늑대의 미소부수체와 미토콘드리아 DNA 연구에서, 미국 북동부와 캐나다 남서부의 광범위한 늑대 종들이 코요테와 혼혈화 되었음이 밝혀졌고, 코요테와의 하플로타입은 동쪽으로 갈수록 증가하여 미네소타역도 크다. 2011년, 48,000마리의 동부늑대(주로 앨곤퀸 주립 공원에 서식하는 종)와 붉은늑대(노스캐롤라이나 주에 서식하는 종), 코요테 유전자의 단일염기 다형성 검사 결과, 이들은 회색늑대와는 별개의 종이며 늑대 추측한다. 동부 늑대는 이후 광범위한 선조인 회색늑대와의 여교잡이 진행되었다. 늑대와 황금자칼과의 혼혈화는 자칼의 미토콘드리아 DNA 연구로 세네갈에서 교잡되었음을 밝혀냈다.\n회색늑대는 가느다라면서 크고 깊하며, 발은 비교적 작다. 앞발은 5개의 발가락이 있고, 또 각각 4개의 발톱이 있다. 앞다리는 겉보기에 가슴에 눌린 것처럼 보이고, 앞발꿈치는 안으로 굽고 발은 밖으로 굽으며 이 때문에 앞다리와 뒷다리가 모두 같은 있게 한다. 암컷은 수컷보다 얼굴과 이마가 좁고 얇은 목, 약간 짧은 다리, 작은 크기의 어깨를 가지고 있다. 사촌 동물(코요테나 황금자칼)과 비교하면 회색늑대는 넓은 코, 짧은 귀, 짧은 몸통과 긴 꼬리, 체중이 더 늑대의 머리는 넓은 이마, 강한 턱, 길고 무딘 코를 가지고 있다. 귀는 상대적으로 작은 삼각형 모양이다. 이빨은 크고 강하며, 다른 개과 동물보다 뼈 분쇄에 적합하게 생겼으나 하이에나 보다는 약한 힘을 가지고 있다뼈 대부분을 부러뜨릴 수 있다. 추운 기후에서, 늑대는 체온을 보존하기 위해 피부 근처의 혈액량을 줄일 수 있다. 발바닥(footpads)의 체온은 나머지 몸의 체온과 달리 조절할 수 있으며, 이는 얼음이나 눈과 접촉하면서다르나 베르그만의 법칙에 따라 위도와 체중은 비례하고, 이에 따라 알래스카와 캐나다의 늑대는 중동과 남아시아의 늑대보다 3–6배 더 무겁다. 평균적으로 늑대 성체의 높이는 105–160cm이며 어깨높이는 80–85cm이다. 꼬이다. 두개골의 길이는 평균 22~27cm이며, 폭은 12~15cm이다. 늑대의 체중은 지역별도 다양하나, 평균적으로 유럽 늑대는 38.5 kg, 북아메리카 늑대는 45 kg, 인도와 아랍 늑대는 25kg이다. 암컷 늑대들은 수컷 늑대보다갈이하고 가을에 다시 자란다. 긴 털이 목의 앞부분 일부와 목의 뒷부분에 많이 자란다. 특히 목 위쪽과 어깨에 긴 털이 생겨 문양을 만든다. 뺨에는 긴 다발의 털이 있다. 귀는 짧은 털로 골고루 덮여 있다. 팔꿈치 밑 대가 뒷다리 사이 얼굴을 끼워 넣고 꼬리로 얼굴을 덮을 경우 −40° 온도에서 버틸 정도로 겨울의 털은 추위에 매우 강하다. 늑대 털은 개의 털보다 단열성이 높으며, 따뜻한 숨이 응축될 때 표면에 붙으면서 얼음이 되지을 가지고 있다. 늙은 늑대는 코에서부터 이마를 따라 흰 털이 나 있다. 겨울 털은 암컷이 배 주변의 털이 짧음에도 불구하고 평균적으로는 길다. 머리 한가운데의 털 길이는 60–70mm이다. 어깨를 보호하는 털의 길이는 mm를 넘지 않지만, 일부는 110–130mm도 도달할 수 있다.\n비록 몇몇 혼자 생활하는 늑대도 존재하지만, 늑대 대부분은 사교적인 동물이다. 늑대의 기본 사회 단위는 한 쌍의 성인 자손으로 구성된 무리이다. 이상적인 조은 성체 1–2마리와 청소년 3–6마리, 새끼 1–3마리로 구성되어 5–11마리 정도 이루며, 일부 2, 3개 정도의 무리는 최대 42마리의 늑대로 구성된 거대 무리도 있다. 새끼들이 자라면서 무리 내에서의 성성숙과 경쟁의 시작늑대 무리는 거의 다른 늑대들을 감싸지 않고 대부분 죽인다. 다른 늑대를 맞이하는 드문 경우에는, 거의 미숙한 동물(1–3년생 정도)이며 쌍들이 사육 권리를 가지기 위해 서로 경쟁한다. 어떤 경우에는, 떠돌이 늑대들이리의 늑대가 한때 무리에 들어갈 수 있다.\n늑대는 매우 넓은 영역을 가지고 있는 동물이며, 생존을 위해 안정적인 먹이의 공급이 필요한 최소 지역보다 더욱 큰 지역을 가진다. 이 지역의 크기는 사냥 가능한 먹이의 양 무리는 먹이를 찾아 계속 이동하며, 이는 하루 영역 25 km/d의 9% 정도를 차지한다. 늑대의 삶 전체 동안 이용하는 핵심적인 평균 영역은 35Km²이며, 평균 50%를 이곳에서 보낸다. 먹이 밀도는 이 지역의 주변 지역에서역의 가장자리에서의 사냥은 다른 늑대 무리와의 심각한 조우가 있을 가능성이 높아 피하는 경향이 있다. 기록상 가장 작은 영역은 미네소타 북동부의 6마리 늑대들로 구성된 무리로 33Km²의 영역이며, 가장 큰 영역은 알까지 계속 익숙한 범위에서 맴돌게 된다.\n늑대의 첫 번식 시기는 환경에 따라 달라지나, 먹이가 풍부하거나 늑대 개체 수가 많을 경우 늑대는 더욱 풍부한 자원을 이용하기 위해 어린 시기에 번식하기도 한다. 이것은 사식 늑대는 2년이라는 것으로 알 수 있다. 암컷은 매년 생식이 가능하나 매년 평균적인 개수의 동복자를 만든다. 코요테와는 달리, 회색늑대는 결코 폐경기가 찾아오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발정은 겨울에 나타나고 출산 경 이동하지 않는다. 늙은 암컷은 보통 동복자의 동굴에서 새끼를 나고, 젊은 암컷은 자신의 동굴에서 출산한다. 임신 기간은 62–75일이며, 새끼는 보통 여름에 출산한다.\n늑대는 다른 개과 종과 비교해 작은 동복자에서 4–17마리 정도의 매우 많은 새끼는 1% 이하에 불구 하다. 새끼는 보통 봄에 태어나 먹이에 상응하는 인구 증가세를 보여준다. 새끼는 태어날 땐 실명과 청각 장애 상태이며 짧고 부드러운 진갈색 털로 덮여 있다. 출생 당주 동안 동굴에 둔다. 1달 반 후, 새끼는 위험으로부터 도망갈 수 있을 만큼 민첩해진다. 어미 늑대는 처음 몇 주 동안 동굴을 떠나지 않고 젊은 늑대가 주는 음식에 의존한다. 새끼는 3–4주 후부터 딱딱한 음식을 먹기 이와 달리 여우나 코요테는 최대한 무는 것을 줄인다. 일반적으로, 실제적인 싸움은 위아래 계층 구조가 만들어지기 시작하는 5–8주 후부터 시작된다. 코요테나 여우와는 달리, 늑대는 놀이 행동이 나타나기 전부터 싸움와 같이 사냥에 동반 가능할 정도로 성장한다.\n늑대는 굴에서의 휴식은 춥거나, 습하고 바람이 강한 날씨일 때 쉬고 낮에 건조하거나, 조용하고 따뜻한 날씨에 늑대는 공개적인 장소에서 휴식한다. 봄가을 동안 늑대는 바위의 갈라진 곳 등 자연적으로 만들어진 곳에 굴을 만들고 절벽이나 돌출된 구멍을 두꺼운 식물로 가린다. 때때로, 이 굴은 여우, 오소리나 마멋 등 작은 동물이 서식하기에 적합한 굴이기도 한다. 이 적합한 굴은 종나 부분적으로 고치기도 한다. 드문 경우지만, 암컷이 스스로 작은 1–3개의 굴을 파기도 한다. 늑대는 기생충 예방 차원에서 여러 개의 굴을 같은 위치에 만들지 않는다. 굴은 보통 물에서부터 500m 떨어져 있는 곳에서 보관 굴 등은 일반적으로 늑대 굴 주변에다 둔다. 굴 주변에서 나오는 악취 등은 까치나 큰까마귀 등의 조류를 유도하게끔 한다. 굴을 위해 필요한 곳이 주변에 있어 늑대 굴에는 보통 가족 동물도 같이 산다. 늑대는 주 늑대는 총소리를 따라 하는 법을 익히고 사냥꾼이 먹이를 가져가기 전에 먼저 들소를 가져가게 되었다. 북부 몬태나 주에서, 늑대가 공중의 사냥꾼들에게 공격받자 늑대들은 항공기 소리를 들을 때마다 개방된 장소에서도 두려워하지 않는 것을 발견했다. 사냥할 때, 무스나 작은 사슴 두 종이 있으면 사냥하기 쉬운 후자를 사냥하는 경우가 더욱 많다. 늑대의 기억력은 동물학자 조지 미바르트가 길들어진 늑대에 대해 3년 동안 떨어져 있인 경우의 태도에 확신하지 않을 때에는 그 사람들을 공격하지 않는다. 성체 늑대는 굴을 만들 때 숲이나, 바람, 썩은 나무, 기타 자연물 등을 이용하여 능숙하게 숨기는 법을 알고 있는 것으로 추측된다. 함정에 걸린 적럼포우의 왕 로보 이야기(Lobo the King of Currumpaw)에서 자연주의자 어니스트 톰프슨 시턴은 초기 늑대를 잡는 시도가 실패할 경우 늑대는 함정을 피하거나 무시한다고 적었다.\n늑대는 훈련할 수 있지만, 개에게서 보서 얻는 신뢰도보다 더 많거나 비슷한 일을 해야 한다. 심지어는, 늑대는 특정 명령을 반복해서 받는 경우 지루해하며 명령을 듣지 않을 수 있다. 늑대는 긍정적인 반응과 보상에 더욱 많은 반응을 보이지만, 간단한 칭찬는 다른 개과 동물과 달리 충분하지 않게 받아들인다. 개와 달리, 늑대는 음성보다 수신호에 더욱 반응하는 경향이 있다. 늑대를 훈련하는 대부분의 시도는 작업견 등에서와 같은 실패를 불러왔다. 독일 생물학자 에릭 지명령을 듣지 않으며 다른 야생 동물에 의해 집중도가 떨어졌기 때문에 궁극적으로는 신뢰할 수 없었다. 그러나 존 제임스 오듀본은 켄터키 주에서 늑대에게 사슴 사냥 훈련이 가능했다는 기록을 남겼고, 헨리 와튼 슈메이르 드 뷔퐁이 쓴 "자연사"에서, 페르시아의 늑대들은 춤을 추도록 훈련된다는 기록을 남겼다.\n옐로스톤에 늑대가 처음 재도입 되었을 때 처음에는 엘크사슴만을 사냥했었다. 재도입된 늑대무리들끼리 서로 싸움이 일어나 독차지하게 되었고, 몰리 무리를 비롯한 다른 무리는 엘크사슴이 풍부한 곳을 빼앗기고 들소가 흔한 지역으로 쫓겨나면서 들소를 사냥하게 되었다. 처음에는 들소 사냥에 서툴렀지만, 점차 들소 사냥을 하는 방법을 쌓게소, 레밍쥐를 비롯한 설치류와 토끼를 흔히 사냥한다. 철마다 오는 순록으로 늑대들은 늙거나 병든 개체를 사냥함으로써 순록과 사람(크릭 족이나 내륙의 이누이트들 같은 북극권 수렵 원주민들)에게 건강한 개체를 남겨 않고 홀로 찾아서 먹는다. 새끼를 키울 때도 쥐고기로 키운다. 늑대들은 어류도 잡아먹는다. 한 예로, 알래스카 남서부 끝에 있는 큰곰자리 숲이라는 곳에서 늑대들은 연어들이 산란하러 올 때마다 연어를 사냥한다. 송. 에티오피아의 아비시니아 고원에 사는 늑대들은 무리를 지어 살지만, 사냥을 할 때에는 독자적으로 나서서 그곳에 흔한 설치류들을 사냥한다.\n실제로 죽이는 방법은 종마다 다르다. 몸집이 큰 먹이일 경우, 성체 늑대는 부드러운 회음 부분을 물려 과다 출혈로 사망한다. 이러한 상처의 길이는 보통 10~15cm이며, 건강한 사슴도 쓰러질 정도로 출혈이 심해지는 회음 부분을 문다. 양이나 노루 같은 비슷한 크기의 먹이를 잡을 경우, 늑대못하게 잡는다. 먹이들이 사냥하기 쉽고 풍부한 경우에 늑대는 가끔 과잉 살해를 하기도 한다. 이러한 경우는 개에게도 많이 찾아볼 수 있지만, 야생의 경우에는 매우 드문 일이다. 야생에서, 과잉 살해는 보통 늦겨울이에 눈이 유난히 많이 쌓인 경우(그러므로 먹이가 잘 움직이지 못함) 또는 굴에서 양육하는 기간 늑대가 많은 수의 먹이가 있어야 하는 경우 일어난다. 늑대가 목을 물어 빨리 죽일 수 있는 중간 크기의 먹이들이 과잉 살달려들어 먹이의 큰 덩어리 부분부터 먹기 시작한다. 번식 중인 쌍의 늑대는 새끼를 계속 낳기 위해 음식을 독점한다. 먹이가 부족하면, 이는 늑대 구성원 중 새끼에게 가장 큰 부담이 된다. 일반적으로 먹이를 잡은 번식구성원들이 시체 조각들을 찢은 다음 한적한 지역으로 옮긴다. 늑대는 심장, 간, 허파, 위 내벽 등 먹이의 큰 내부 기관부터 먹기 시작한다. 콩팥과 비장은 밖으로 노출되면 먹고, 그다음에는 근육을 먹는다. 한 마리의 에 코요테나 황금자칼보다 복잡하다. 덜 사교적인 개과 동물은 간단한 시각적 신호로 의사소통하지만, 늑대는 더욱 자세하고 미묘한 시각적 신호가 있다. 자연적일 때, 늑대는 다리를 굳히지 않고 꼬리를 느슨하게 내리며자기주장이 강한 늑대는 움직임이 신중하고 느린 것이 특징이며, 몸이 높은 자세이며 목뒤털이 올라가지만, 복종하는 늑대인 경우에는 자세가 낮고 자신의 털, 귀, 꼬리를 낮춘다. 번식 가능한 수컷은 자기 무리 부하의 로 이루어진다. 수동적인 방식은 보통 지배적인 동물이 다가왔을 때 보여주는 방식이며, 복종하는 늑대는 지배적인 늑대가 회음의 냄새를 맡도록 한다. 능동적인 방식은 지배적인 늑대를 만났을 때 낮은 자세로 접근하며다. 서로의 코 부분에 입을 대는 것은 친절을 표시하는 것이고, 이빨이 코 부분에 닿는 것은 지배를 뜻한다.\n늑대는 보통 사냥 직후 무리를 다시 모이게 할 때 정보를 알리기 위해, 특히 굴에서 익숙하지 않은 지형에도있도록 소리를 이용한다. 늑대의 울부짖음은 가장 좋은 조건에서 최대 130 km³ 밖의 영역에서도 들을 수 있다. 늑대의 울부짖음은 큰 개의 소리와는 구별된다. 수컷 늑대는 베이스 옥타브의 O 소리로 짖고, 암컷 늑대는 . 늑대 울부짖음의 주파수 대역은 150 ~ 780Hz를 기본 주파수로 하여 12음 위의 함축된 화성을 낸다. 보통 피치는 일정히 유지되나, 4~5배 정도 높게 올리거나 내릴 수 있다. 이 울부짖음은 무리를 부를 때 사용하며, 부가 가까워지면 짧은 짖음과 울음소리를 혼합하여 낸다. 함께 울부짖을 때에는 늑대가 같은 수에서 조화롭게 합창하여 실제보다 더 많은 늑대가 있는 것처럼 속인다. 외톨이 늑대는 일반적으로 다른 늑대 무리가 있는 지역, 첫 번째 음절을 강조하는 등 늑대의 울부짖음은 지역마다 다르다는 주장이 있다. 그러나 둘은 상호 의사 소통성으로 북미 늑대가 유럽 늑대의 울부짖음의 차이점을 기록하기 위해 만들어진 것이다.\n늑대의 여러 소리에본 주파수로 하여 놀란 늑대가 내는 소리이다. 늑대는 개처럼 크고 길게 짖지는 않지만, 몇 번 짖고 나서 위험으로부터 돌아간다. 으르렁거리는 소리는 380–450Hz를 기본 주파수로 하여 늑대가 먹이 문제에 직면했을 때 내는 낑낑거리는 소리는 공격을 위해 돌진할 때 내는 소리이다. 낑낑거리는 소리는 이 외에도 불안, 호기심, 탐구, 친밀감과 인사, 새끼에게 먹이를 줄 때 등 다양한 때에 나는 소리이다.\n늑대의 후각은 가장 예민하고 라 다르며, 각자 고유한 후각적 지문을 가진다. 아포크린과 에크린한선이 섞여, 늑대가 땅을 긁으면 그 곳에 냄새가 배이며 이는 배뇨 후와 번식기에 깨끗하게 하기 위해 한다. 늑대 뒷면 머리카락의 모공은 아포크린선과 이 선에서 나오는 물질로 세균이 서식하는 미기후가 만들어진다. 소름이 일어나는 동안, 뒤면의 머리카락이 나오고 피부의 주름이 펴저 냄새가 나오게 된다. 꼬지전분비선은 늑대끼리 싸울 때 꼬리에서 나오는 선으로 꼬성별에 따라 다르므로, 분비물은 성별과 생식 상황을 알 수 있게 한다. 포피선의 분비물은 호르몬의 상태 또는 사회적 지위를 알려주며, 조사에서 지배적인 늑대는 부하를 통해서 포피선의 냄새를 알려주는 것이 알여졌다기동안, 암늑대는 질 분비물로 암컷의 생식 상태를 먼 거리의 수컷도 감지할 수 있게 한다. 배뇨는 늑대의 후각적 의사소통에서 가장 중요한 곳이다. 대부분의 연구자들은 이 곳의 기능이 동물들의 경계를 나타낸다는 것배뇨(RLU)는 암컷보다 수컷이 더 일반적이며, 이는 늑대가 감지 가능성을 극대화할 목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마크는 늑대의 높이도 알려준다. 일반적으로 지배적인 늑대가 RLU를 사용하며, 하위적인 수컷은 어린 선 쓰레기 먹이에 의존하지만, 러시아나 동부 유럽 산악 지역 등 야생의 늑대들은 무스, 붉은사슴, 유럽노루, 멧돼지 등 대형 유제류를 먹이로 삼는다. 기타 초원의 늑대들은 순록, 큰뿔양, 무플론, 유럽들소, 사이가산양,부분 인구 밀도가 낮은 지역에서 적당한 서식지를 갖추고 있다. 북미의 늑대가 선호하는 먹이는 무스, 흰꼬리사슴, 와피티사슴, 뮬사슴, 큰뿔양, 돌산양, 아메리카들소, 사향소, 순록 등이 있다.\n늑대는 주로 대형 유제 들쥐 등 설치류 및 기타 식충목이 있다. 또한 물새의 알도 자주 먹는다. 이러한 먹이가 부족한 경우, 늑대는 도마뱀, 뱀, 개구리, 드물게는 두꺼비 와 대형 곤충도 또한 먹이로 삼는다. 먹이가 부족한 시기에는 소 도축대를 공격하거나 죽은 무리의 늑대를 먹기도 하는 것 등 동종포식도 종종 있는 일이다. 아스트라한의 늑대 무리는 카스피 해에서 카스피물범을 사냥한 적도 있으며 알래스카와 서부 캐나다의 늑대 무리들은 연어를 사냥한관계이지만 늑대는 서식지에서 큰곰보다 우위에 있다. 두 종은 서로의 새끼를 죽인다. 늑대가 큰곰 새끼를 먹고, 큰곰도 주요 먹이가 늑대 새끼이다. 미국에서는 아메리카흑곰도 마주친다. 흑곰과 늑대가 만나는 일은 서 일보다 드물다. 흑곰과 늑대가 만난 것 대부분은 멕시코 북부에서 기록된 것이다. 늑대는 수많은 경우에 흑곰의 둥지를 공격하거나 먹거나 죽이려 하지 않는다고 기록되었다. 큰곰과는 달리, 흑곰과 늑대의 살해 논쟁은다. 늑대는 아시아흑곰의 새끼를 죽였다는 기록이 있다.\n다른 인간이나 호랑이만이 늑대에게 심각한 위협을 주는 포식자이다. 러시아 극동 같이 호랑이와 늑대의 서식지가 겹치는 경우 두 종은 치열한 경쟁을 한다. 늑대 알 수 있다. 늑대 개체수는 19세기 후반부터 20세기 초반까지 러시아가 식민지가 되어 호랑이 개체수가 감소했을 때만 증가했다. 시호테알린 산맥 주변에 거주하는 원주민들이 1930년대까지 늑대가 서식한 기억이 없으며오직 인간이 호랑이를 경쟁적 배제를 시킴으로써만 살 수 있었다. 오늘날 늑대는 호랑이 거주 지역에서 주로 외톨이 늑대나 소형 무리의 형태로 포위되어 서식하고 있다. 호랑이가 자연사해 죽은 경우 늑대는 가끔 청소 랑이 사냥꾼이 호랑이를 사냥할 수 있는 근거를 만들었고 이들은 늑대 개체수를 유제류 이하로 만듦으로써 늑대 인구도 통제했다.\n북유럽에서 늑대의 멸종 노력은 중세부터 조직화되어 1800년대 후반까지 계속되었다. 영랜드로 옮겼으나 이후 숲들이 사라졌다. 늑대는 이후 1684년까지 브레마 주와 서덜랜드 주의 숲에서 생존했다. 아일랜드의 늑대도 비슷한 과정으로 1770년 마지막 늑대가 죽었다. 스웨덴에서는 순록이 멸종한 이후 늑대가가 스웨덴에서 생존했지만 사냥에 스노모빌을 이용하며 1966년 마지막 늑대가 죽었다. 노르웨이에서는 1973년 마지막 늑대가 죽었다. 핀란드에서는 러시아에서 계속적인 늑대 유입에도 불구하고 20세기 급격하게 줄어들었다.\n중앙유럽에서 늑대는 조직적인 사냥과 유제류 개체수 감소로 인해 19세기 초 동안 급격하게 개체수가 감소하였다. 회색늑대는 덴마크에서 1772년 멸종되었고 19세기 전까지 스위스에서 거의 사라졌다. 바이에른 주의 늑대 보호 정책을 시작하면서 최초로 늑대를 보호하는 현대적 국가가 나타났다. 프랑스의 늑대 사냥은 800년에서 813년 사이 카롤루스 대제에 의해 제도화되었고 "로우베트리에"(louveterie)라는 전문 늑대 사냥 조직을 1789년 프랑스 대혁명 이후 폐지되지만 1814년 재조직된다. 1883년에는 1,386마리 이상의 늑대가 죽었다.\n동유럽에서는 아시아의 거대 숲 지역에서 유입되는 늑대로 인해 완전히 멸종하지는 않았다. 그러나, 동유럽의 동부의 몇 산림 지역에서만 발견되었다. 동 발칸반도의 늑대들은 전-소련 공화국의 넓은 평야, 산, 농지에서 접근성의 혜택을 보았다. 헝가리의 늑대들은 20세기 초반 절반으로 줄었으며 대부분은 판노니아 평원에 몰려 에는 최소치인 1,550마리까지 줄어들었다. 불가리아에서 늑대의 멸종은 다른 국가보다는 더욱 늦게 이루어져 1955년에는 1,000마리가 남았으며 1964년에는 1-200마리로 줄어들었다. 그리스의 늑대들은 1930년 펠로폰네소서는 멸종한 적이 없었다. 늑대의 조직적 사냥은 1923년 유고슬라비아의 슬로베니아 코체베에서 생겨난 늑대 구제위원회(Wolf Extermination Committee, WEC)의 결성으로 시작되었다. WEC는 디나르알프스 산맥에서 늑대 마리가 개인적으로 서식하고 있다. 폴란드는 중부유럽에서 이웃 국가로 늑대를 확장시키는 주요한 역할을 한다. 북쪽에서는 리투아니아, 에스토니아, 라트비아, 우크라이나와 슬로바키아의 늑대 범위가 겹친다. 2012년 이 15마일(26 km) 이내까지 발견되었다. 슬로바키아의 회색늑대는 보호받지만 예외적으로 가축을 공격할 경우에는 사냥이 허용된다. 몇몇 슬로바키아 늑대가 체코로 이동할 경우에는 완전한 보호를 받는다. 슬로바키아, 우부여받고 있지만 문제를 일으킬 경우에는 연중 내내 허가를 받고 사냥을 할 수 있다.\n소비에트 연방의 늑대는 거의 모든 지역에 서식하고 있으며 오직 솔로베츠키 제도, 제믈랴프란차이오시파 제도, 세베르나야제믈랴 제sland), 코만도르스키예 제도, 샨타르스키예 제도에서만 서식하지 않는다. 늑대는 적백내전, 제2차 세계 대전 두 시기에 크림 자치 공화국 지역에서 대량 사냥당했다. 두 차례의 세계 대전 이후 소련 늑대 개체수는 두 번시아에서 많이 사라지며 최저점을 찍었다. 개체수는 1980년 약 75,000마리로 증가했고 1979년에는 32,000마리가 죽었다. 내몽골 자치구의 늑대는 1940년 초 먹이인 몽골영양의 밀렵으로 멸종했다. 영국령 인도 제국에서는20년대에는 노스웨스턴 주와 아와흐(Awadh)에서는 늑대가 절멸했다. 전반적으로 1871년부터 1916년까지 영국령 인도에서 10만 마리 이상의 늑대가 죽었다.\n늑대 상태에 대한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는 중동의 이스라엘과 집행으로 적당한 늑대 개체수를 유지하고 있고 이웃 국가로 방출하고 있으며, 사우디아라비아는 3백-6백 마리가 방해받지 않은 광대한 사막 지역에서 서식하고 있다. 사우디아라비아의 늑대는 유목의 감소와 인간 폐기물대들은 시리아로 옮겨가기도 한다. 작은 늑대 개체가 골란 고원에 서식하고 있으며 군사 활동으로 인해 보호받고 있다. 네게브 사막 남부에 서식하는 늑대는 이집트의 시나이 반도나 요르단에서 유입되는 개체로 유지되고는 국가는 이스라엘뿐이다. 다른 곳에서는 베두인족이 연중 내내 사냥할 수 있다.\n한반도의 늑대는 남한의 경우 1980년대를 마지막으로 사라졌다. 그리고 동물원 사육개체도 1997년을 마지막으로 죽어버렸다. 늑대가 사였다. 그러자, 일부 동물 보호단체에서 중국에서 만주산 늑대 4마리를 들여와 재도입계획을 세우고 있다. 또한 민간단체에서도 몽골에서 늑대를 들여와 복원을 추진하고 있으며 환경부에서는 북한과 연해주에서 늑대를 도올 늑대가 한반도 아종이 아니라 다른 아종이기 때문에 외래종의 늑대 도입이 될 가능성이 있다. 현재 늑대가 복원이 되면 증가하여 여러 문제가 있는 멧돼지나 고라니등 번식력이 좋은 우제류등 야생동물 개체수를 조절다. 20세기 초에 늑대는 애팔래치아 산맥 일부와 오대호 지역 북서부 지역을 제외하고 미국 동부에서 멸종했다. 캐나다에서는 1870년에서 1921년 사이 뉴브런즈윅 주와 노바스코샤 주에 늑대가 멸종했으며 1911년에는 뉴멸종했다. 대평원에서 늑대 개체수 감소는 1860년-70년 사이 아메리카들소 등 다른 먹이의 개체수 감소와 시작되었다. 1900년에서 1930년 사이 종을 멸종하기 위한 집중적 육식 동물 관리 프로그램으로 인해 사실상 미국 멸종되었다. 북미 늑대의 개체수 감소현상은 1930년에서 1950년 사이 남서부 캐나다에서 대형 사냥 게임의 규제와 대형 유제류의 보호로 인해 다시 증가했다. 이 증가는 서부와 북부 캐나다의 늑대 개체수 증가에 도움을증가가 시작되었다.\n캐나다에서는 캐나다의 행정 구역의 법률에 따라 다르지만 52,000마리에서 6만 마리의 늑대가 서식하고 있다. 캐나다 원주민은 제한없이 늑대 사냥을 할 수 있지만, 다른 주민들은 허가를 필요로 한로 추정되며 사냥과 수집철 동안 합법적으로 사냥할 수 있지만 사냥감 제한 등의 기타 제한 법률이 있다. 2002년 현재, 옐로스톤의 늑대는 28개 무리 250마리가 있으며 아이다호 주에서는 25개 무리 260마리의 늑대가 서리조나 주와 뉴멕시코 주의 늑대가 8개 무리 28마리까지 줄어들어 멕시코늑대가 절멸위기종 보호법의 보호를 받게 되었다.\n2011년까지 아프리카에 회색늑대가 서식했는지는 논쟁거리였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이집트에는 고 언급했다. 독일의 의학자인 게오르기 엘버스(Georg Ebers)는 현재의 아시우트, 고대 이집트에서는 아누비스라는 도시가 "도시의 늑대"라는 뜻의 이름이 붙어진 것을 근거로 이집트가 늑대를 신성시했다고 주장했다. 동간과한 것으로 비판받았다. 2002년 12월, 에리트레아의 다나킬 사막에서 개과 동물이 발견되었으며 황금자칼 또는 주변 지역의 6종과 비슷하지 않고 회색늑대와 비슷한 종을 발견했다.\n늑대가 감염될 수 있는 바이러스성러시아, 이란, 아프가니스탄, 이라크, 인도가 있다. 보통 늑대의 잠복기는 8일-21일이며 감염 결과 흥분 상태에 이르기 때문에 무리에서 떠나가게 되고, 하루 80 km 이상 움직이기 때문에 다른 늑대에게 전염시킬 수도 있 개에게는 개홍역이 치명적이지만 캐나다와 알래스카 주를 제외하고 늑대를 죽였다는 기록은 나오지 않았다. 개파보바이러스는 대부분 늑대는 살아남지만 새끼 경우에는 탈수로 인한 전해질 불균형이나 내독소로 인한 패병을 일으키거나 사망하지는 않고 늑대가 사망한 기록은 한 건밖에 없다. 개코로나바이러스는 겨울 몇 달 동안 알래스카 늑대 사이에 심각하게 퍼진 것으로 기록되었다.\n늑대가 감염될 수 있는 세균성 질병에는 브루셀라이 있다. 또한 늑대는 야생 및 사육 순록을 잡아먹으며 돼지브루셀라증(Brucella suis)에 감염될 수 있다. 늑대 성체는 어떤 임상적 징후가 나타나지 않지만, 감염된 암컷은 새끼를 심각하게 약화시킬 수 있다. 라임병은 발열, 거식증, 구토, 빈혈, 혈뇨, 황달 등의 증세가 나타나며 심지어는 죽을 수도 있다. 인간 거주 지역 근처에 사는 늑대들은 감염된 가축 폐기물과 부육 등으로 인해 야생의 늑대보다 감염률이 높다. 늑대는 토끼목의로 인해 툴라레미아에 감염될 수 있지만, 늑대에게 미치는 영향은 알 수 없다. 소결핵균은 늑대에게 주요 위협이 되지 않지만 캐나다에서 두 마리의 새끼를 죽인 기록이 남아 있다.\n늑대가 감염되는 채내기생균에는 원생시아, 람블편모충속만 감염시킨다. 늑대는 특히 농부들에게 위험한 네오스포라개구충을 가축들에게 옮기며 감염된 다른 동물들은 유산률이 3-13배 증가한다. 북미 늑대에게서 가장 흔한 알라리아흡혈충은 늑대에게 먹힌 스 콘쥰트스는 늑대의 간이나 쓸개에 감염되어 간 질환, 췌장염, 수척해지는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대부분의 흡충은 늑대의 장에 서식하지만, 웨스트만폐흡충은 폐에 감염된다. 웨스트만흡충은 늑대가 먹은 유제류, 작은시 증상으로는 변비, 독성 알레르기 반응, 점막 자극, 영양실조 등이 있다. 유제류에 의해 감염되는 에키노코쿠스 그라놀로수스는 늑대의 개체 밀도가 증가할수록 감염률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는데 늑대는 자신의 대소변보인다. 개십이지장충은 늑대의 장에 달라붙어 피를 빨아먹으면서 고색소성빈혈, 수척해짐, 설사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심할 경우 죽기도 한다. 십이지장충으로 알려진 개회충은 자궁을 통해 새끼를 감염시킬 수 있으며 기생충은 최대 1m까지 자랄 수 있다. 거대신충은 신장 조직의 완전 파괴를 불려오며 양쪽 신장에 감염될 경우 치명적일 수 있다. 늑대는 심장사상충에 감염될 경우 수년간 낮은 수준의 증상이 나타나지만 높은 수준에서는을 나타내진 않지만 개에게 수척, 지나친 타액 분비 및 근육 통증을 일으킬 수 있다. 늑대는 구두동물에 거의 감염되지 않지만 러시아에서 오니콜라 스크르쟈비니(Onicola skrjabini), 마크로칸토르휴니쿠스 카투리누스(미스(Moniliformis moniliformis) 3종의 감염이 확인되었다.\n북유럽 신화와 일본 신화에서 늑대는 신으로 가깝게 묘사되었다. 일본에서는 농부가 신사에서 늑대를 숭배하고 굴 근처에서 먹이를 주며, 야생 맷돼지와 사슴다른 문화에서, 아일랜드 신화에서는 코르막 맥 에어트가 늑대로 묘사되며, 로마 신화에서는 암늑대가 로물루스와 레무스를 기르며 로마를 건국했다는 등 여러 기초 신화에서 늑대를 중심 인물로 두고 있다. 튀르크 신화는 늑대가 자기 민족의 조상으로 나온 반면, 데나이나 민족은 늑대가 한 남성의 형태이며 자신의 형제인 것으로 믿는다. 늑대는 고대 그리스와 고대 로마 신화에서 아폴론 신과 늑대가 태양에 관련되어 있다고 설명하며 을 처음으로 겪은 동물이다. 북유럽 신화에서 볼바 마녀가 히로킨 거인과 힐다 거인을 늑대로 다스리는 것으로 묘사하고, 나바호 족은 늑대를 마녀로 생각하고 두려워하는 등 가끔 북유럽과 아메리카의 일부 원주민 신화서 중 하나인 바빌론의 《길가메시 서사시》에서는, 이슈타르 여신이 길가메시를 유혹하자 그녀에게 그녀의 이전 연인들은 양치기가 늑대가 되며 양떼로부터 막지 못하는 동물이 된다는 점을 상기시키고 거부했다. 조로아시기 늑대가 양 군집 문제를 만드는 것으로 나온다. 이솝 우화 중 가장 유명한 양치기 소년은 의도적으로 거짓말을 하는 것을 지양하는 내용의 동화이며 여기서 관용구 "cry wolf"가 파생되었다. 몇몇의 다른 우화에서는 나온다. 아이소포스는 늑대를 이용하여 인간의 도덕적인 행동에 대해 비판했으며, 그의 묘사로 인해 늑대는 위험한 동물이라는 인식이 퍼졌다. 이것은 성경에도 반영되어 늑대가 탐욕스럽고 해악하다는 묘사가 13번 인용자로 묘사했다. 현대의 늑대 이미지는 예수가 양의 가죽을 쓴 늑대를 언급하며 거짓 선지자를 경고하는 것을 비유함으로부터 시작되었다. 몇몇 저자가 늑대를 위험한 사람들과 비교하는 예수의 묘사를 따옴으로서 늑대의 7세기 판에 처음 등장하는 《사이올로지스》(Physiologus)에서는 이교도들에게 기독교의 도덕과 신비를 가르친 책이다. 사이올로지스에서는 늑대가 인간을 공격하며 특히 목뼈를 노린다고 적었다. 단테 알리기에리는 암출판된 《말레우스 말레피카룸》(Malleus Maleficarum)에서는 늑대는 신이 악인을 처벌하는 대리인이거나 악마의 대리인으로 나와 신도의 믿음을 시험하고 축복을 주는 것으로 언급했다. 12세기 라틴어 시인 예센그리무스. 하지만 충성스럽고 정직하며 도덕적으로 묘사된 아이센그림은 여우의 지혜와 학대의 피해자로 나타나며 종종 이야기 끝에서 죽기도 한다. 1697년 샤를 페로가 처음 쓴 《빨간 두건》(한국에서는 빨간 모자로 알려짐)에이 다른 문학 작품에 비해 더 많은 영향을 받은 것으로 생각된다. 이 이야기에서는 늑대가 잠재적인 강간범으로 나오며 인간의 목소리를 따라할 수 있다고 적었다. 러시아 문학에서는 인간이 눈에 띄게 늑대를 사냥하는 스토이의 전쟁과 평화와 체호프의 "소작농"(Peasants) 두 작품에서는 늑대가 사냥개와 보르조이에게 사냥당하는 장면이 나온다.\n팔리 모왓이 1963년 작성한 픽션 회고록 《울지않는 늑대》(Never Cry Wolf)는 대중 문학 작품으로 여겨졌으며 영화화되고 수십년 간 학교에서 가르치기도 하였다. 비록 늑대들을 대중의 인식에서 사랑스럽게 바꿔놓았으나, 사실 부정확하게 협력적이며 귀족적이고 부적절한 지시에 거부하는 등의 늑대에 대한 관한 이러한 비슷한 비판으로 미사 데포세카의 《미사: 어 메모리제 오브 더 홀로코스트》(Misha: A Mémoire of the Holocaust Years)에서는 폴란드 점령기 동안 늑대가 기른 야생아에 대한 한 저자의 거짓 논란이 나온무리 사이의 관계를 다루고 있다. 이 부의 마지막 항목에서는 늑대의 관점에서 바라보며 의인화되었으나 생물학, 동물학적으로 동물을 바라본다. 여러 현대 아동 문학 작가들은 늑대를 더 긍정적으로 바라보기 위해 고전 and the Three Little Pigs)와 〈양치기 소년〉(The Wolf who cried Boy) 동화가 있다.\n늑대는 영국 병기창 찰지에 자주 이용되었다. 또한, 늑대는 바론 웰비, 바론 렌델, 월셀레이 자작의 장식쇠 서포터와 로베트, 윌오는 체르스트에 발에 왕관이 있는 반늑대의 모양으로 나오며, 이는 찰스 2세가 우스터 전투 이후 울페 가문에게 하사한 것이다. 스코틀랜드의 문장, 특히 도나차디쉬 씨족와 스캐니 씨족에 공통적으로 늑대 머리가 나온의 문장에서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것으로 종종 입에 양고기를 물거나 뒤를 건너는 것으로 그려진다. 또한, 늑대는 콜로빌 인디언 연합 동맹과 위스콘신 오나이다 부족, 파위네족의 깃발에서 흔히 볼 수 있다. 현대에서대들의 상징이다. 또한 유고슬라비아 전쟁 기간 동안 세르비아의 준군사 조직인 흰 늑대와 부크약늑대에서도 늑대를 상징으로 했다.\n잘 길들어진 가축은 지속적으로 인간의 보호를 받았기 때문에 자신을 잘 방어할 수 없축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이러한 문제는 야생의 먹이가 많아진 북미에서는 적은 편이다. 이 가축 손실의 대부분은 늑대 포식에 가장 취약한 여름의 방목 기간 중이나 원격지의 목초지의 방목 가축으로 구성되어 있다. 자서 공격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말의 강한 뒷발굽 차기 방어수단으로 인해 말보다 늑대가 더 위험할 수 있다. 늑대의 다른 아종들은 우선 다른 동물을 대상으로 포식할 수 있다. 큰 몸집의 북부늑대가 완전히 다 자란 소있다. 일반적으로 늑대는 크기에서 개를 능가하기 때문에 물리적 공격에서 개는 일단 늑대의 큰 머리의 이빨에 물리게 된다. 또한, 늑대와 개가 싸우는 스타일은 다르다. 개는 일반적으로 공격할 시 머리, 목 및 어깨 부러시아에서는 늑대가 유기견의 개체수를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개가 사람들과 함께 공격할 때, 늑대는 비정상적인 대담한 행동을 하며 때로는 가까운 사람을 무시하기도 한다. 늑대의 개 공격은 집의 뒷마당이나 숲 모두 스칸디나비아와 위스콘신 주에서 큰 문제로 대두된다. 스칸디나비아에서 가장 빈번하게 죽은 사냥개는 해리어 품종으로 늙은 동물이 어린 동물보다 소심하여 늑대에 대한 반응을 다르게 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위험하명적인 상처는 보통 목 뒤를 물린 상처이다. 스웨덴 쟘툰드(Jämthund) 같은 대형 개의 사냥은 자신의 방어하기 더욱 수월하기 때문에 살아남을 가능성이 더욱 높다.\n늑대는 도발 정도에 따라 반응이 다를 수 있지만 이러해 배우는 것으로 인해 발생한다. 이러한 계속된 공격은 습관화 될 수 있으며 늑대가 인간의 두려움을 잃게 되게 한다. 피해자는 일반적으로 얼굴과 목 주위에 지속적인 공격을 받으며 늑대가 방해가 되지 않는 한 끌려가이가 죽을 때 까지 시간과 공간에 상관없이 계속 공격하는 경향이 있다. 약탈적 공격은 일년 언제나 일어나지만 6-8월 기간에 최고점에 달하며 이때 숲 지역으로 유입되는 사람들(가축 방목이나 식물 채취)로 인해 사람들, 카리알라, 우크라이나 지방이 주로 포함된다. 또한, 새끼를 가진 늑대는 이 기간 동안 큰 먹이 스트레스를 받는다. 약탈하는 늑대의 피해자는 거의 18세 미만의 어린이이며 성인의 경우 남성은 매우 드물고 거의 여성이늑대가 질병의 주요 소유자 역할을 하지 않는 이상 다른 종보다 감염율이 낮지만 개와 여우, 자칼처럼 쉽게 발견되기도 한다. 광견병에 감염된 늑대는 주로 지중해, 중동과 중앙아시아에서 발견되며 북아메리카에서는 매광견병에 걸린 늑대가 제일 위험하다. 광견병에 감염된 개보다 늑대가 물렸을 경우 15배 더 높은 것으로 추정된다. 광견병에 감염된 늑대는 보통 혼자 생활하며 먼 거리를 여행하여 종종 많은 가축과 인간을 문다. 대부분 또한, 대부분의 피해자는 성인 남성이나 보통은 무작위로 선택되어 공격하는 편이다.\n북아메리카 대륙은 매우 낮은 발생률과 기록을 보이고 있으나, 아메리카 토착민들의 구술 역사(oral history)에 따르면 일부 늑대가운 곳에서 늑대가 나타날 수 있으므로 더욱 두려워했다. 이렇게 몇몇의 대형 공격이 유라시아에 비해 북아메리카가 매우 적은 이유는 역사적으로 북아메리카에서 많이 가용된 화기로 인해 유라시아의 늑대보다 북미의 늑의 늑대 공격은 총 80회로 39회는 매우 건강한 늑대의 습격이었으며 29회는 인간을 전혀 두려워하지 않은 사건으로 판명한다. 북아메리카에서 일어난 광견병에 걸리지 않은 늑대의 대형 습격은 두 차례 있었다. 2005년 캐010년에는 알래스카 주의 치그니크 호수(Chignik Lake)에서 조깅하던 한 여성이 사망했다.\n늑대는 뛰어난 감각, 빠른 속도와 빠르게 사냥개를 죽일 수 있는 능력, 강한 체력 등으로 인해 늑대 사냥은 매우 어려운 것으로냥(보통 시각 하운드, 블러드 하운드, 폭스 테리어를 이용), 스트리크닌 중독, 과 발판, 덫, 러시아에서 인기 있는 사냥 방법인 인간 냄새를 뿌리고 플라드리로 애워싸운 다음 무리 전체를 사냥하는 것이 있다. 이 방법은면 효과를 잃을 수 있다. 일부 사냥꾼들은 전화를 이용하여 늑대를 사냥하기도 한다. 카자흐스탄과 몽골에서는 전통적으로 늑대를 독수리와 매로 사냥하며 현재는 경험이 풍부한 매잡이가 줄어들어 감소하고 있다. 항공기죽은 스카프, 여성복의 트림에 사용되며 가끔 재킷, 망토, 외투, 머클럭, 융단에도 이용된다. 늑대 가죽은 개가죽보다 얇고 잘 찢어지는 경향이 있다. 늑대가죽의 품질은 모피섬유의 밀도와 강도에 따라 다르고 수직으로대가 부드럽고 푹신하기 때문에 북미늑대 가죽이 선호되고 가치가 높다. 독에 의해 죽은 늑대의 가죽은 대부분 가치가 높다. 중세 유럽에서는 피부의 악취로 인해 사용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늑대는 가죽이 유일한 실위해 늑대가죽을 사용했다. 파웨니 족(Pawnee people)은 적 지역을 여행할 때 망토같은 늑대가죽을 입고 다녔다. 미국 육군은 제2차 세계 대전과 한국 전쟁에서 병사의 얼굴 동상을 막기 위해 늑대 가죽으로 만든 파카를협약에 따르면 매년 국제적으로 6천-7천 마리의 늑대가죽이 매년 거래되고 있으며 캐나다, 소비에트 연방, 몽골과 중국에서 가장 많이 수출하며 영국과 미국에서 가장 많이 수입한다. 전반적으로 늑대가죽으로 인한 늑대의 수입으로 이용되고 있다.\n늑대가 식품으로 이용되었던 것은 드물지만, 역사적으로 음식이 부족하거나 약용으로 늑대고기를 먹었다. 특히, 1913년 빌하레무르 스테판슨(Vilhjalmur Stefansson)의 북극 원정대는 늑대고토착민들은 늑대고기를 먹을 수 있지만 불충분한 영양이 들어있다고 생각했고 초식동물이 아니었으므로 다른 동식물과 구별되는 특징을 가질 것이라고 생각했다. 아시아의 민간요법에서는 몽골에서는 감기를 완하시키고 는다고 하는 등 늑대고기와 장기 소비에 주요한 영향을 주었다. 일부 산간 지방의 일본인들은 늑대고기가 용기를 준다고 믿었다. 《더 그레이》 영화 촬영 기간 동안 캐스트 맴버들은 늑대고기를 먹은 것으로 유명했다. 사했다.\n길들인 늑대는 개보다 예측과 관리가 어렵고 남을 해치는 행위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여 완전히 신뢰할 수 없고 약간의 자극에도 사냥 본능(prey drive)을 갖출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늑대는 다른 개과보다고 다른 사람과 보조적인 관계도 가지고 있다. 그러나, 개와는 대조적으로 늑대는 가족을 무리의 연장으로 보고 자신의 생활에서 인정하지만 늑대는 점점 낯선 사람과 무리와 접촉하면 심각한 포비아 현상을 일으킨다. 이최대 약 10주까지도 사회화시킬 수 있지만, 늑대는 19일만 지나도 사회화가 거의 불가능하다. 늑대의 모유는 개의 모유보다 더 많은 아르기닌이 들어 있기 때문에 새끼에게 아르가닌을 주사하지 않으면 백내장에 걸릴 수선 사람을 향해 공격하지 않지만 나이가 들며 특히 번식기에는 공격성이 매우 증가한다. 수컷이 암컷보다 공격적이고 다루기 더 힘들다. 늑대는 미국 표준 사육장(kennel)에 넣기 힘들고, 늑대는 개보다 관찰 학습 능력이우면 다시 묶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n', 'title': '회색늑대'}
id: _2g2t3YBIP3557OATfxV, score: 1.2068315
{'paragraph': '큰개미핥기는 성체의 몸길이가 182-217cm, 꼬리 길이 60-65cm, 몸무게가 수컷이 33-41kg, 암컷이 27-39kg에 이르는 대형종으로, 큰 몸집과 더불어 원통형의 주둥이와 긴 꼬리를 가지고 있다. 이것은 모든게 긴 것이며, 대부분은 대롱 모양의 주둥이가 비중을 차지한다. 수명은 10년 안팎이지만 동물원에서는 16년 이상을 살 수 있다. 목뼈는 경도가 높고 등과 이어지는 쪽에는 돌출된 혹 부분이 있고, 몸 색깔은 전체적으로은 줄무늬가 있으며, 앞다리는 흰색이지만 뒷다리는 어두운 갈색을 띤다.\n큰개미핥기는 주행성·야행성의 습성을 모두 가지고 있다. 2006년 연구 결과로는 큰개미핥기는 대부분 야행성이고 야간과 새벽에 가장 활동적이며의 개체들이 관찰된 바 있다. 큰개미핥기의 야행성이 인간의 영향이라는 연구 결과도 있다. 먹이를 찾아 항상 돌아다니기 때문에 정착 생활을 하지 않으며, 먹이를 찾을 때는 개활지에서, 수면을 취할 때에는 개활지보다거나 못에서 목욕을 하는 모습도 관찰되었다.\n텃세를 부리는 동물이며, 그 범위는 서식지마다 차이가 있다. 브라질의 세라 다 카나스트라 국립공원의 개체군 중에서 암컷의 경우는 3.67km, 수컷은 2.74km의 행동권을 가 관측되었다. 보통 새끼가 딸린 어미와 암수 한 쌍을 제외하면 홀로 산다. 큰개미핥기의 의사소통은 항문 주위의 분비샘으로부터 나오는 분비물로 이루어지는데, 이것은 이들의 텃세뿐 아니라 현재 상태와 번식기 여부를키기도 한다. 텃세는 소변으로 표시하기도 한다. 타 개체를 타액의 냄새로 구분할 줄 아는 것으로 여겨진다. 암컷과는 달리 수컷의 경우 세력 투쟁을 하는데 두 수컷 개체가 맞닥뜨렸을 경우 서로 싸움이 일어나기도 한다문에 주로 개미를 먹는다. 반대로 에마스 국립공원의 큰개미핥기들은 초원에서 더 많이 서식하는 흰개미들을 주식으로 한다. 또한, 세라 다 카나스트라 국립공원의 큰개미핥기들은 우기(10-3월) 동안은 개미를, 건기(4월미가 뿜는 페로몬의 자취로 위치를 알아내며, 개미를 먹을 때는 발톱으로 개미총이나 개미집을 두 개의 날카로운 발톱으로 긁어서 흐너뜨린 다음 발달된 침샘에서 나온 끈끈한 타액이 묻어 있는 혀로 핥아서 쓸어담듯이 습격하기도 한다. 이가 없어서 먹이를 씹어서 잘게 부수지 못하고 그냥 삼키기 때문에 곤충 외의 다른 먹이들은 잘 먹을 수 없다. 그 외에도 딱정벌레류의 유충을 먹기도 한다. 동물원에서 사육하는 개체는 하루 3만여 마 퓨마와 재규어가 주 천적이지만, 발톱이 매우 발달되어 있어 퓨마와 재규어도 쉽게 덤빌 수 없다. 그 외에의 천적으로는 아나콘다, 악어 등이 있다.\n', 'title': '큰개미핥기'}
- 이번 결과는 기존검색이나 벡터유사도 검색이나 모두 1등 결과는 전혀 맞지않는것 같다.
다만 2, 3번째 검색결과가 동물이 나오는것을 보니 뭔가 되긴 되는가보다
- ! 주의 : 위 검색어가 시맨틱스러운 검색어인지는 불분명함
- 결론
- 벡터 유사도 검색의 성능을 끌어올리기 위해선, Doc2Vec 능력이 관건일듯 하다.
- 유사도검색만 쓰는것보단 BM25기반 검색도 함께 이용하는 것이 신뢰성있는 검색결과일듯하다. (아직까지 사용자들은 검색어를 키워드로 입력하는 legacy 검색에 익숙해져있기 때문)
- 참고
www.elastic.co/kr/blog/text-similarity-search-with-vectors-in-elasticsearch
'Backend > 검색'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메인 특화 knowledge graph search 구축 (0) | 2021.08.04 |
---|